
제주항공(대표 김이배)은 15일 다음 달 B797-8 항공기 2대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해당 기종은 차세대 항공기라고 불리며 기존 운항 기체보다 연료효율은 15% 높고, 정비비·소음은 10% 정도 개선됐다.

그는 이어 “LCC는 최근 항공기 수급 차질때문에 공급 확대 어려운 상황”이라며 “제주항공은 다음 달 도입하는 항공기를 비롯해 안정적인 항공기 공급 체계를 갖췄다”고 덧붙였다.
해당 항공기 도입으로 제주항공은 국내 LCC(저비용 항공사) 중에서 가장 많은 항공기(42대)를 보유하게 됐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국내선에 집중했던 김이배 대표의 일본 공략 재개라고 판단된다. 해당 전략을 통해 지난 2021~2022년(2021년 653만 명, 2022년 723만 명) 2년간 국내 2위 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의 탑승객 수(2021년 483만1109명, 2020년 670만18명)를 제친 제주항공은 최근 일본 노선 다변화 전략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일본 운항을 재개했던 제주항공은 현재 국내 LCC 중 가장 많은 해외 노선(37개 도시, 50개 국제선, 2023년 8월 기준)을 운항 중이다. 일본 노선의 경우 인천·부산을 기점으로 가장 많은 10개 도시, 14새 노선을 보유 중이다. 단독 운항 일본 노선은 ▲인천~마쓰야마 ▲인천~시즈오카 ▲인천~오이타 ▲인천~히로시마 4개 노선이다.
특히 시즈오카·히로시마는 ‘일본 소도시 여행’이라는 콘셉트로 올해 상반기 성과를 냈다. 지난 3월 재운항을 시작한 시즈오카 노선은 6월 한 달간 약 1만 명(9679명)을 수송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6월(3880명) 대비 약 150% 급증한 규모다. 같은 시기 운항을 재개했던 마쓰야마(6월 수송 6939명) 노선도 2019년 6월(4209명)보다 수송객이 64.8% 늘어났다. 지난 6월 신규 취항한 인천~오이타, 지난달 취항한 인천~히로시마도 평균 70% 후반대의 탑승률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제주항공 측은 “시즈오카·마쓰야마·히로시마 등 일본 소도시 여행 수요가 늘어난 요인으로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여행객의 증가’”라며 “제주항공은 다음 달 도입하는 차세대 항공기 등을 비롯해 일본 노선 다변화를 기점으로 새로운 여행지 발굴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항공은 올해 상반기 938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1328억 원 영업적자) 대비 흑자 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921억 원, 당기순익 681억 원이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