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서효문 기자] 올해 들어 호실적을 보이는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사진)가 여객 부문을 앞세워 하반기에도 해당 기세를 이어간다. 제주항공은 최근 항공기 2대를 구입하며 급증하는 여객 수요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제주항공(대표 김이배)은 15일 다음 달 B797-8 항공기 2대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해당 기종은 차세대 항공기라고 불리며 기존 운항 기체보다 연료효율은 15% 높고, 정비비·소음은 10% 정도 개선됐다.
이미지 확대보기제주항공(대표 김이배)은 15일 다음 달 B797-8 항공기 2대를 도입한다. 사진제공=제주항공.
제주항공 관계자는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차세대 항공기를 도입해 본격적인 기단 현대화 작업을 진행할 것”이라며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LCC는 최근 항공기 수급 차질때문에 공급 확대 어려운 상황”이라며 “제주항공은 다음 달 도입하는 항공기를 비롯해 안정적인 항공기 공급 체계를 갖췄다”고 덧붙였다.
해당 항공기 도입으로 제주항공은 국내 LCC(저비용 항공사) 중에서 가장 많은 항공기(42대)를 보유하게 됐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국내선에 집중했던 김이배 대표의 일본 공략 재개라고 판단된다. 해당 전략을 통해 지난 2021~2022년(2021년 653만 명, 2022년 723만 명) 2년간 국내 2위 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의 탑승객 수(2021년 483만1109명, 2020년 670만18명)를 제친 제주항공은 최근 일본 노선 다변화 전략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일본 운항을 재개했던 제주항공은 현재 국내 LCC 중 가장 많은 해외 노선(37개 도시, 50개 국제선, 2023년 8월 기준)을 운항 중이다. 일본 노선의 경우 인천·부산을 기점으로 가장 많은 10개 도시, 14새 노선을 보유 중이다. 단독 운항 일본 노선은 ▲인천~마쓰야마 ▲인천~시즈오카 ▲인천~오이타 ▲인천~히로시마 4개 노선이다.
특히 시즈오카·히로시마는 ‘일본 소도시 여행’이라는 콘셉트로 올해 상반기 성과를 냈다. 지난 3월 재운항을 시작한 시즈오카 노선은 6월 한 달간 약 1만 명(9679명)을 수송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6월(3880명) 대비 약 150% 급증한 규모다. 같은 시기 운항을 재개했던 마쓰야마(6월 수송 6939명) 노선도 2019년 6월(4209명)보다 수송객이 64.8% 늘어났다. 지난 6월 신규 취항한 인천~오이타, 지난달 취항한 인천~히로시마도 평균 70% 후반대의 탑승률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제주항공 측은 “시즈오카·마쓰야마·히로시마 등 일본 소도시 여행 수요가 늘어난 요인으로 ‘특별한 경험을 원하는 여행객의 증가’”라며 “제주항공은 다음 달 도입하는 차세대 항공기 등을 비롯해 일본 노선 다변화를 기점으로 새로운 여행지 발굴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들어 급증한 해외여행 수요는 이런 전략에 힘을 싣고 있다. 16일 항공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제주항공 해외 탑승객 수는 334만6009명이다. 2020~2022년 동안 총 해외 탑승객 수(263만9419명) 대비 약 70만 명이 많다. 2019년 상반기(419만5258명)의 약 80%(79.76%) 수준까지 회복했다.
탑승률 역시 80%가 넘는다. 올해 2분기 제주항공 국제선 탑승률은 84.1%다. 전년 동기 68.7% 대비 15.4% 포인트 올라갔다. 제주항공 국제선은 지난해 4분기 80%(86.6%)의 탑승률을 회복한 이후 3분기 연속 80% 이상을 기록 중이다.
해외 여행객의 부가매출 상승 또한 해당 전략의 동력으로 기대된다. 대표적인 것이 객단가(총 부가매출/총 탑승객 수)다. 지난해 2분기 6100원에 불과했던 제주항공 객단가는 2022년 3분기 1만3000원으로 2배 상승한 이후 올해 2분기(1만3100원)까지 1만3000원 대를 유지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올해 상반기 에어카폐, 기내 면세, 부대 판매 등 모든 부가매출이 전년 대비 약 300% 늘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