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태승기사 모아보기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제기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관련 중징계 취소 행정소송에서 연이어 패소하면서 금융회사 내부통제에 대한 금융회사 CEO 책임론이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금감원이 내부통제제도 개선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사 CEO 제재에 대한 법적 근거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관심이 모아진다.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법원은 지난 22일 손태승 회장이 금융감독원장을 상대로 낸 문책 경고 등 처분 취소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1심과 마찬가지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현행법상 내부 통제기준을 마련해야 하는 의무 위반이 아닌 내부 통제기준을 준수해야 하는 의무 위반을 이유로 금융사나 임직원을 제재할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2심에서도 항소를 기각하고 원고 승소로 판결한 1심을 유지했다.
금감원은 연이은 패소에 내부통제 책임에 대한 금융사 CEO 제재의 정당성을 잃게 되면서 CEO의 내부통제 책임론도 힘이 빠지게 됐다. 앞서 금감원은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해 각 증권사 대표들에게 중징계를 처분한 바 있지만 금융위원회에서 사법적 판단에 대한 법리 검토 등을 이유로 최종 결정을 미루면서 이번 패소가 증권사 CEO들의 최종 징계 수위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를 일으킨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해 김형닫기
김형기사 모아보기진 전 신한금융투자 사장과 윤경은 전 KB증권 사장, 나재철닫기
나재철기사 모아보기 전 대신증권 사장에 대해 직무정지를, 박정림 KB증권 사장에게 문책 경고를 처분했으며 옵티머스펀드 사태와 관련해서는 정영채닫기
정영채기사 모아보기 NH투자증권 대표에게 문책 경고를 처분한 바 있다. 금융사 CEO 징계 수위는 금융위 정례회의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금감원은 2심에서도 패소하면서 “2심 재판부의 판단을 존중한다”며 “판결 내용을 면밀히 검토한 후 금융위 등과 협의하여 향후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연이은 패소에 내부통제 책임에 대한 금융사 CEO 제재의 정당성을 잃게 되면서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고 가능성이 제기된다.
금감원은 금융위와 함께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제도 개선방안을 추진하면서 전체 업권 특성에 맞게 내부통제제도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금감원은 금융관행혁신 TF를 구성하고 사실상 구속력을 가진 일명 ‘그림자 규제’들에 대해서 규정화하거나 환경변화로 실익이 없어진 경우 과감히 철폐하는 등 규제개혁에도 나서고 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 “DLF 중징계 무효”…사법 리스크 털어낸 손태승, 연임 청신호(종합)
-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DLF 징계취소 행정소송' 2심도 승소(상보)
-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DLF 징계취소 행정소송' 2심도 승소(속보)
-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오늘(22일) 'DLF 징계 취소 소송' 2심 선고…금융권 촉각
- 우리금융 회장 'DLF 징계 취소 소송' 2심 선고 연기…금융사들 촉각
- 법원,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 DLF 중징계 효력 2심까지 정지
- DLF 같은 사안 우리-하나은행 엇갈린 판결…금융권 혼란만 가중
- 'DLF 징계 취소소송 1심' 손태승 승소·함영주 패소…다른 판결 왜?
- 함영주 DLF 징계 취소소송 '패소'에도…하나금융, 회장 선임 진행할듯
- [종합] “DLF 불완전판매”…함영주, DLF 중징계 취소소송 1심 패소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