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간 MBK-홈플러스 측은 신용평가사로부터 지난 2월 28일에 등급 강등을 확정 공시 통보받았고, 이후 지난 3월 4일로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혀 왔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MBK-홈플러스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하고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하였음에도, 이를 숨기고 ABSTB 등 단기채권을 발행했다고 판단했다.
또, 그는 "MBK에서 거래업체 유지 필요성을 들어 채권자 금융기관 협조를 구해달라는 식의 요청도 했다"고 언급하며 "절차는 회생절차로 가면서, 당국에 절차에 어울리지 않는 요청을 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러한 상황이 지지부진하게 5~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의 회생계획안에 대한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자 등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 비난을 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인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법적 주주 자격이 있는 누군가가 어떤 책임을 질 것이고, 과정에서 채권자들은 어떤 희생을 감수할 수 있는 지가 설득이 돼야 한다"며 "채권단, 납품업체, 임대인, 근로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진심 어린 이해와 양보를 구하는 게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또 관련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소상공인, 납품업체, 투자자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