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이날 2500억원 규모의 공모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 예측을 진행한다. 만기는 3년물(1700억원)과 5년물(800억원)으로 구성됐으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4000억원까지 증액 발행한다.
NH투자증권은 조달한 자금을 이달과 내달에 만기가 돌아오는 기업어음(CP) 상환에 쓸 계획이다. 만기를 확대해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사실상 민간 기업이 받을 수 있는 최고등급(AA+)을 보유하고 있어 조달 자체에 큰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고려아연 분쟁, MBK 지원에 불똥 튄 NH투자증권
MBK파트너스는 최소 연 5.7% 금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NH투자증권 입장에선 단순 계산으로 약 637억원(9개월 계약 기준)규모의 이자를 받게 된다.
통상 이러한 단기 차입(브릿지론 등) 자금은 인수금융 등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경영권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대환 가능성이 다소 불투명해졌다. 규모 역시 상당해 받아줄 주체를 찾기가 쉽지 않다.
지난해 NH투자증권의 신용공여 규모는 11조4000억원으로 직전 년도(7조6000억원) 대비 3조8000억원 가량 늘었다. 중요한 것은 MBK파트너스 등에 일부 차주 신용 집중 위험도가 크게 높아졌다는 점이다.
불가피하게 브릿지론을 연장하면 자본 대비 위험 익스포저 비중 개선이 어렵다. 이미 자본 증가폭 보다 더 빠르게 신용 공여를 늘린 탓에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현재 NH투자증권은 신용등급 ‘변동’ 가능성과 거리가 멀다. 다만 회사채 투자자 입장에선 신용위험이 특정 주체에 몰렸다는 점이 불편하다. 특히 담보자산이 주식이란 점에서 위험분산이 미흡했다는 관점이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역은 “증권사 입장에서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관련 수익을 얻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익스포저가 한 쪽에 집중되지 않게 하면서 자산건전성 비율을 해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환 문제는 해당 이슈가 확대되면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으로 생각하지만 리스크 관리 부문에서 다소 오점을 남긴 것도 사실이다”고 평했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