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과 언론 보도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최근 수년간 홈플러스의 구매전용카드 매출 증가와 함께 관련 채권을 다수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매출은 2022년 759억 원에서 2024년에는 7953억 원으로 급증했으며, 롯데카드는 이 가운데 약 47%인 3700억 원 상당은 600억원 한도의 구매카드 연간 이용액으로 알려졌다.
롯데카드는 또 다른 MBK 인수 기업인 네파의 자금 조달에도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네파가 추진한 자산유동화대출(ABL) 가운데 100억~150억 원 규모를 롯데카드가 부담하며, 이자율은 약 10% 수준으로 알려졌다.
롯데카드의 수익성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금융감독원 공시에 따르면 2023년 롯데카드의 당기순이익은 13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62.7% 감소했다. 일회성 이익을 제외해도 약 18.9%의 실질적 감소가 확인됐다. 팩토링 대출 등으로 인한 대손충당금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2022년 대비 2023년 충당금 전입액은 64.8% 증가했다. 이 과정에서 약 786억 원 채권 중 일부 연체도 발생해 금융당국의 수시검사가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MBK 김광일 부회장의 다수 기업 등기임원 겸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는 현재 롯데카드, 홈플러스, 네파, 오스템임플란트 등 국내 18개 기업의 등기임원을 맡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려아연 이사직에도 선임됐다. 그러나 이 같은 다중 겸직이 경영 집중도를 떨어뜨리고, 특히 이해도가 낮은 산업군에 대한 무리한 참여라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김광일 부회장이 기업 수십 곳의 이사를 겸직하면서 제대로 된 경영 관리가 이뤄지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