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2.03(화)

네이버 최수연, "제2 데이터센터 각 세종, 한국 디지털 산업 엔진 될 것"

기사입력 : 2023-11-08 10: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 ‘각 세종’ 본격 가동
자율주행·로봇 등 네이버랩스 첨단 기술 적용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클라우드·AI 사업 속도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각 세종 데이터센터 오픈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네이버이미지 확대보기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각 세종 데이터센터 오픈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네이버
[한국금융신문 이주은 기자] “네이버는 데이터 인프라가 중요하다는 걸 대한민국에서 가장 처음 깨달은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각 세종은 10년, 그 이상의 미래를 내다보고 설계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로 네이버뿐 아니라 한국 디지털 산업의 엔진이 될 것입니다.”

지난 6일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오픈식에서 최수연닫기최수연기사 모아보기 대표는 이같이 말했다. ‘초대규모’가 AI(인공지능) 시대에 갖춰야 할 핵심으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각 세종은 양과 질 어느 면에서도 빈틈없이 스케일업(Scale-Up) 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네이버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두 번째 데이터센터 ‘각 세종’이 드디어 문을 열었다. 10년 전 국내 인터넷기업 최초로 선보인 자체 데이터센터 ‘각 춘천’을 운영하며 쌓은 노하우를 가득 담았다. 본격적으로 생성형 AI 시장이 열리면서 데이터 처리는 갈수록 복잡하고 방대해지고 있다. 최근 데이터센터의 역할은 더욱 부각되는 이유다. 네이버는 각 세종을 전초기지 삼아 글로벌에서 AI·클라우드 비즈니스 확장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각 세종은 축구장 41개 크기인 29만 4000㎡의 엄청난 부지 규모를 자랑한다. 단일 기업의 데이터센터 기준으로는 국내 최대 수준인 60만 유닛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이를 활용해 네이버는 65엑사바이트에 달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전체 데이터의 약 100만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또 초대규모 AI처럼 높은 연산 처리에 최적화된 GPU를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로 운영하고 있다. 슈퍼컴퓨터도 클러스터 형태로 대량 구축돼 있다. 각 세종이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로 불리는 이유다.

네이버클라우드 노상민 센터장이 각 세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사진제공=네이버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클라우드 노상민 센터장이 각 세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사진제공=네이버
이날 발표자로 선 노상민 데이터센터 센터장은 각 세종을 하이퍼스케일의 데이터센터로 구축하기 위해 어떤 팀네이버의 기술이 투입됐는지 소개했다. 노 센터장은 “각 세종은 네이버 1784와 연계돼 국내 데이터센터 최초로 로봇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며 “넓은 부지를 가진 만큼 자율주행 셔틀인 알트비부터 자산관리 자동화 로봇인 세로, 자율운송 로봇인 가로 등 리소스가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각 세종에는 네이버랩스에서 자체 개발한 로봇 자동화 시스템이 구현됐다. 데이터센터 내부를 돌아다니는 모든 로봇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구축된 로봇 인텔리젼스 시스템인 ‘아크’를 통해 공간·인프라와 실시간으로 연동된다. GSP가 통하지 않는 곳에서도 로봇의 현재 위치와 경로를 알려주고, 로봇의 이동과 작업 수행을 위한 계획과 처리를 대신해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운영을 돕는다. 제2 사옥인 1784에 이어 네이버의 또 다른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데이터센터인 만큼 운영 최적화에도 힘썼다. 네이버는 운영 효율화를 위해 통합 모니터링과 자동 제어 기술을 자체 개발해 구축했다. 주요 인프라 계통도 이원화했다. 어떠한 상황이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다. 또 네이버가 출시하고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신속한 확장이 가능한 모듈 형태로 데이터센터를 구성했다.

10년 이상의 각 춘천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도 한층 극대화했다. 노 센터장은 “외기 전력을 활용해 냉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부분을 꾸준히 고민해왔다”며 “각 세종은 직·간접 외기를 적절히 냉방에 활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냉방 시스템을 적용해 운영 중”이라고 했다. 또 서버실은 복층 구조로 구성해 찬 공기와 더운 열기가 섞기지 않으면서 찬 공기는 빠르게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했다.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인 서비스 공급이 핵심 과제인 만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튼튼한 시스템 구축에도 집중했다. 각 세종은 각 춘천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규모 7.0 수준의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현재 지어지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와 동일한 기준을 택했다. 예측 범위에서 벗어난 각종 재난·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신속히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대비 시스템을 마련했다.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이슈를 방지하기 위해 물리보안 체계에도 힘썼다.

11월 기준 각 세종은 전체 규모의 1/6만 공개한 상태다. 단계적으로 서비스 수요에 따라 확장 진행할 예정이다. 임차 등은 염두에 두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각 세종 데이터센터 전경. / 사진제공=네이버이미지 확대보기
각 세종 데이터센터 전경. / 사진제공=네이버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이주은 기자기사 더보기

산업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