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부터 지난 7월까지 약 7년간 금융업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는 202명에 이들이 횡령한 금액만도 1816억590만원에 달했다.
지난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개선 TF’를 운영하고 지난 6월 ‘금융회사 내부통제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지만 횡령사고는 더 증가한 셈이다.
업권별로 횡령한 임직원의 규모를 살펴보면 은행이 113명으로 56%를 차지해 절반이 넘었으며 보험 59명, 증권 15명, 저축은행 11명, 카드 4명 순이다. 횡령한 금액 규모 역시 은행이 1509억8010만원으로 83.1%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저축은행 169억2180만원, 증권 86억9600만원, 보험 47억4200만원, 카드 2억6600만원 순이었다.
특히 저축은행을 포함한 은행 임직원 횡령의 경우 최근 들어 전체 금융업권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지난달까지 발생한 임직원 횡령은 총 42건인데 이중 은행 임직원의 횡령 건수는 36건으로 약 85.7%이며 횡령금액은 전체 1407억5830만원 중에서 은행에서만 1399억2930만원에 달한다.
저축은행을 제외하면 31건에 1317억9460만원이다. 은행 중에서 횡령 직원이 가장 많은 은행은 하나은행으로 21명이며 횡령 규모가 가장 큰 은행은 우리은행으로 733억3110만원에 달했다.
이러한 천문학적 규모의 금융업권 임직원이 횡령한 은행 돈은 환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까지 발생한 1816억590만원 횡령액 중 환수된 금액은 224억6720만원으로 환수율이 12.4%에 불과했으며 은행의 경우 환수율은 전체 1509억8010만원 중에서 114억9820만원만 환수돼 7.6%를 기록했다.
강민국 의원은 “1년간 금융당국이 연달아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개선을 발표했지만 오히려 횡령사고가 더 증가하였다는 것은 대책들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금융업권의 횡령을 이대로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한 채 셀프 준법경영 문화 정착에만 집중한다면 횡령은 만연할 수밖에 없기에 반드시 철저한 관리·감독과 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 빈대인 회장 “경남銀 횡령사고 유감…그룹사 내부통제 프로세스 전면 재점검”
- 예경탁 경남은행장, 562억대 횡령 사고 공식 사과…"고객 피해 없도록 할 것"
- 5년간 시중은행 횡령금액 871억원 달해…회수율 7% 불과
- 경남은행 562억 횡령사고에…금감원, 全은행 ‘부동산 PF 자금관리’ 긴급 점검
- '562억 횡령사고' 경남은행 "고객·지역민 피해 없이 조치…내부통제 강화"
- 경남은행 직원이 562억 횡령…검찰 압수수색·금감원 현장 검사
- 우리은행 횡령 직원 적발…7만 달러 빼돌려 코인 투자
- 금감원, 직원 3억원 횡령 참저축은행 ‘기관주의’ 제재
- "금융사고 수시로 보고"…금감원, 은행권 내부통제 워크숍
- 금융사 내부통제, 임원별 책임 나뉜다…CEO에 ‘총괄 관리’ 의무 부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