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저유가로 맞은 유례없는 경영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책으로 풀이된다.

3대 추진 방향은 △디지털 OE △디지털 그린 △디지털 플랫폼 등이다.
우선 SK에너지는 AI·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공장관리 등에 접목한 '스마트 플랜트'를 울산CLX 전 공정에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과 안전성 강화를 꾀한다.
또 첨단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솔루션을 현장에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공장 폐수 재처리 기술 '디지털 워터솔루션' 구축을 검토한다. 오는 2027년 항공유 시장에서 오염물질 배출 감축 의무 적용에 발맞춰 '바이오 항공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회사가 보유한 전국 3000여개 주유소를 기반으로 한 주유·물류·세차·주차 등 모빌리티 종합 서비스 플랫폼 사업도 적극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대표적으로 2018년 SK에너지가 발굴한 개인간 택배서비스 '홈픽' 등 관련 서비스를 계속해서 내놓는다는 것이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