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tv’는 지난해 8853억원의 매출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499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또한 매출은 지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3년 동안 78.2%로 크게 성장했으며, 가입자 역시 ’16년 2분기 이후 최근 3년간 75.4%가 증가했다.
일반가입자 해지율 대비 대폭 낮은 수준인 아이들나라, 넷플릭스 사용자의 해지율로 인한 가입자 유지도 효과를 더했다. 또한 유튜브 및 넷플릭스 이용 증대와 함께 VOD 매출도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것도 고무적이다.
고급형 셋톱박스인 UHD 셋톱 이용 고객이 올해 상반기 기준 전체 고객의 59.7%로 증가했고, 고급형 요금제 이용 고객도 43.5%에 달한 것도 매출 증가에 일익을 담당했다.
2017년 첫 선을 보인 ‘U+tv 아이들나라’는 키즈 및 영유아 부모 대상 맞춤형 서비스로 올해 7월 말까지 누적 이용자가 250만명에 달하며 이달 초에는 ‘U+tv 아이들나라 3.0’을 선보였다.
이번 ‘U+tv 아이들나라 3.0’은 AI가 진단하고 전문가가 추천하는 맞춤교육 서비스로 더욱 진화한 것이 특징이다.
시니어 대상 특화 서비스 ‘브라보라이프’는 시니어 맞춤형 전용 UI를 선보이고 오리지널 콘텐츠도 대폭 확대하면서 하반기 중 새롭게 업그레이드 된다.
시니어 인구의 증가는 물론 성공한 시니어 유튜버가 등장하고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큐레이션 서비스 인기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향후 ‘U+tv’ 가입자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20~30대 층 고객에게 특히 인기가 높은 넷플릭스 콘텐츠도 강화한다. LG유플러스는 넷플릭스와 추가적인 공동마케팅을 추진하는 등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영화, 드라마, TV방송 VOD는 물론 뮤지컬, 오케스트라, 발레단 공연, 유명 미술작품 전시 영상 등 더욱 다양한 장르의 수준 높은 콘텐츠를 지속 발굴해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세계 3대 클래식 음악 콩쿠르인 ‘차이콥스키 콩쿠르’의 2019년 갈라콘서트 및 오프닝 콘서트 VOD를 국내 최초로 단독 제공하는 등 VOD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있다.
현준용 LG유플러스 스마트홈부문장 전무는 “2008년 말 ‘U+tv’가 첫 선을 보인지 11년만에 매출 1조원 달성에 도전하고 있다”며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독점 콘텐츠를 더욱 강화하고 AI 등과 결합함으로써 고객 가치를 더욱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