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열린 '경제계 주요인사 초청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외교적 해결 노력에도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주요그룹 CEO와 홍남기닫기


문 대통령은 "부품·소재 공동개발이나 공동구입을 비롯한 수요기업 간 협력과 부품·소재를 국산화하는 중소기업과 협력을 더욱 확대하길 바란다"면서 "정부만으로는 안 되고 기업이 중심, 특히 대기업의 협력을 당부한다"고 했다.




자산 10조원 이상 34대 기업집단 가운데 부영, 대림, S-OIL 등 3개 기업은 이번 회동에서 빠졌다. 손경식 CJ 회장은 경총 회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이재용닫기


◇ 자산 10조 이상 기업집단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 ▲최정우 포스코 회장 ▲김승연 한화 회장 ▲허창수 GS 회장 ▲김병원 농협 회장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황창규 KT 회장 ▲조원태 한진 회장 ▲박정원 두산 회장 ▲구자열 LS 회장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 ▲김남구 한국투자금융 부회장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 ▲장형진 영풍 회장 ▲김홍구 하림 회장 ▲신창재 교보생명보험 회장 ▲이원태 금호아시아나 부회장 ▲백복인 KT&G 사장 ▲안병덕 코오롱 부회장 ▲이우현 OCI 부회장 ▲김범수 카카오 의장 ▲정몽규 HDC 회장 ▲정몽진 KCC 회장
◇ 경제단체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CJ 회장) ▲김영주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 [전문] 문 대통령 최고경영자 오찬발언 "일본 조치에 비상한 각오로 임하고 있다"
- 이낙연 "일본과 마찰, 기업들 오래전부터 준비..삼성도 많은 투자로 대비했지만 완벽하진 않아"
- 이낙연 "일본과 마찰, 대통령은 엄중히 보면서 우려하고 있어..대책 논의하고 있어"
- 이낙연 "일본이 추가 제재에 나올 가능성 보면서 준비하고 있다"
- 전경련 일본 경제 제재 긴급세미나, '한일 무역분쟁 확대시 전기전자 산업 독점 지위 중국 전환'
- 성윤모 장관 "불화수소 북한반출 없었다" 일본 주장에 정면반박
- FT “일본의 민수용 소재 수출 허용으로 韓반도체업체 최악상황 피할 듯”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