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과 이규성 칼라일그룹 공동대표. (사진=현대차)
[한국금융신문 곽호룡 기자] 정의선닫기정의선기사 모아보기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이 모빌리티 산업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고객가치를 중심에 놓고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어 그는 GBC·지배구조개편 등 그룹을 둘러싼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도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에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정 부회장은 22일 이규성 칼라일그룹 공동대표와 대담을 통해 청중들 앞에서 이같은 자신의 견해를 공유했다.
우선 정 부회장은 미래 성장을 위한 그룹의 전략을 묻는 질문에 "고객"이라고 답했다.
그는 “요즘 고객에게 더 집중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한다"면서 "서비스, 제품 등 모든 측면에서 우리가 고객에게 집중하기 위해 더 노력할 여지가 없는지를 자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중심으로의 회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대차그룹 모든 직원들은 고객을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정 부회장은 직원들과 피터 드러커의 '최고의 질문'을 읽고 토론하며 고객가치에 대해 재정의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이처럼 정 부회장이 고객을 강조하는 이유는 '공유경제' 대두로 사업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은 “앞으로 밀레니얼 세대는 자동차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공유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그룹 체질을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업체'로 전환할 뜻을 내비쳤다. 그는 “우리의 비즈니스를 서비스 부문으로 전환한다면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그는 미래차 산업 선도를 위해 내부적으로는 연구개발 및 조직문화 혁신에 나서고, 외부적으로는 협력사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기술 확보에 나설 것을 역설했다.
GBC 조감도. (사진=강남구청)
정 부회장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개발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삼성동 부지를 선택한 것은 그만큼 미래 가치가 높은 지역이기 때문”이라며 “그럼에도 현대차그룹은 핵심 사업인 자동차 분야에 주력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SPC를 설립하여 관심을 가진 많은 투자자를 확보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좋은 투자자들을 유치해 공동개발 하고, 수익을 창출해 현대차그룹 핵심사업에 재 투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서는 “투자자들과 현대차그룹 등 모두가 함께 만족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여러 옵션들을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이어 투자자들의 의견을 최대한 경청해 수익을 극대화하고 나누는 방향으로 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