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훈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20일 여의도 IFC에서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기업가치 밸류업이 아니라 주주가치 밸류업이라고 해야 했다"며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교수는 주주이익은 'N분의 1(1/N)'로, 사적인 이익보호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기업가치와 주식(주주)가치의 괴리가 문제라고 했다. 이 때 기업가치는 '기업이 미래 벌어들일 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합계', 주식가치는 '주식이 미래 벌어들일 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합계'라고 했다.
밸류업의 목표(타깃)로 "주식가치 할인 해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정부가 주가를 띄우겠다거나, ROE(자기자본이익률), PBR(주가순자산비율)을 높이겠다는 발상보다는, 주식시장 발전을 저해하는 구조적 불공정, 불평등 요인을 제거하는 데 집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이 교수는 "이사 충실의무는 이해상충 해소 의무로서, '딴 주머니 차면 안 될 의무'라고 할 수 있다"며 "총수의 사적 이익 말고, 전체 주주 이익을 추구하자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사 충실의무가 배임죄 범위 확대 우려로 칭해지는 데 대해서는 "이사 충실의무 도입 시 주주 사무를 처리하는 지위, 주주에 대한 배임 성립이 우려될 수 있다"고 짚었다.
그러나 이 교수는 "과도한 형사처벌의 문제"라고 설명하며,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사안은 형사는 부적합하고, 민사가 적합하다"고 제시했다.
배임죄 폐지 주장이 나오는 데 대해서는, 형사 절차가 담당해 주던 억제효과, 증거수집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고 시사했다.
이날 포럼 주제발표에 이은 패널 토론에는 김주영 법무법인 한누리 대표변호사, 김규식 싱가포르 피보나치자산운용 변호사, 천준범 와이즈포레스트 대표(변호사), 이채원 라이프자산운용 의장이 참여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 기업 밸류업 성공 위해서는…"특히 이사회 역할이 핵심적" [기업 밸류업을 외치다]
-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밸류업 10대 과제' 발표…"자사주 소각 의무화해야" [기업 밸류업을 외치다]
- 증권株, 밸류업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에 ‘훨훨’…하반기도 오름세 이어질까
- ‘밸류업’ 속도 내는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해외 IR 종횡무진
- [기자수첩] SK, 주주 위한 ‘진정한’ 밸류업 고심해야
- 취임 2주년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안정 주력…"PF 구조조정·밸류업 차질없이 진행" [이복현號 금감원]
- 서유석 금투협회장-日 증권업협회장 대담…"밸류업, 정부 역할 중요"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