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BNK금융의 주가는 지난 6일 6730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1.9% 하락 마감했다. 지난해 말(12월 29일) 종가 6500원에 비해서는 올들어 3.54% 상승했다. 2021년 10월 22일 9260원까지 올랐던 주가는 이후 약세를 지속해 올해는 줄곧 6000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역대급 실적을 이어가던 지방금융지주들은 1분기 고전을 면치 못했다. 3대 지방금융(BNK·DGB·JB금융)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58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줄었다. BNK금융의 순이익은 256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7.1% 감소했다. 같은 기간 JB금융은 2.1% 줄어든 163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DGB금융의 순이익은 1680억원으로 지방금융 가운데 유일하게 1년 전보다 3.6% 증가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수익이 줄어든 반면 충당금 전입액은 늘면서 전체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부동산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증권·캐피탈 등 계열사들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실적을 끌어내렸다. BNK금융의 BNK투자증권은 PF 관련 수수료 감소로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44.6% 급감한 191억원에 그쳤다.
BNK금융의 2분기 순이익 컨센서스는 전년 동기 대비 4.28% 줄어든 2190억원이다. DGB금융(1196억원)은 2.92%, JB금융(1566억원)은 2.22% 각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 경기 침체에 따른 연체율 상승으로 건전성 관리도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BNK부산·경남·DGB대구·JB전북·광주 등 지방은행 5곳의 올 1분기 평균 연체율 상승폭은 0.23%포인트로 집계됐다.
빈대인닫기

김태오닫기

김기홍닫기

지방금융지주 회장들은 주주환원 정책 강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특히 직접 자사주를 사들이며 책임경영과 주주가치 제고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김기홍 회장은 지난 4월 자사주 2만주를 취득했다. 취임 후 다섯번째 자사주 매입으로, 매입 금액은 1억6781만9279원이다. 김 회장은 총 12만500주의 자사주를 취득해 국내 7대 금융지주 회장 중 발행주식총수 대비 가장 많은 자사주를 보유하게 됐다. 김 회장은 취임 직후인 2019년 5월 처음으로 자사주 2만500주를 장내 매수했고 이어 2019년 12월 2만주, 2020년 3월 4만주, 지난해 4월 2만주를 각각 매입했다.
김태오 회장은 지난 3월 말 자사주 1만주를 주당 6944원에 장내 매입했다. 회장 취임 이후 7번째 매입으로, 보유 자사주는 총 5만주가 됐다. 김 회장은 취임 이듬해인 2019년 3월 자사주 5000주 매입을 시작으로 2019년 7월과 2020년 2월 각각 5000주, 2020년 3월 1만주, 2020년 4월 5000주, 지난해 4월 1만주, 올해 3월 1만주를 추가로 사들였다. 빈대인 회장도 지난 3월 취임 직후 자사주 3만1885주를 매입한 바 있다.
이들 회장은 기업설명회(IR)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김태오 회장은 지난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뉴욕과 보스턴, 로스앤젤레스에서 기관투자자 대상 IR을 진행했다. DGB금융은 같은달 200억원 규모로 자사주를 매입하기도 했다. DGB금융의 자사주 매입은 지난 2011년 DGB금융지주 출범 이후 처음이다. 다른 금융지주와 마찬가지로 향후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주가치 제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DGB금융은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으로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목표치인 13%를 상회하면 연간 순이익의 40% 이상을 주주환원에 사용하기로 했다. DGB금융의 올 1분기 기준 CET1 비율은 11.9%다. CET1 비율 11~12% 범위는 적정 자본 구간으로, 주주환원율을 30%로 점진적으로 높인다. DGB금융의 지난해 사업연도 기준 주주환원율은 27% 수준이다.
BNK금융은 2분기부터 컨퍼런스콜 참여 대상을 기존 기관투자자와 애널리스트에서 개인투자자로 확대하기로 했다. BNK금융은 지난 2월 160억원을 자사주를 매입도 결정한 바 있다. BNK금융은 목표 CET1 비율을 13.5%로 정하고 이를 초과할 시 최대 50%의 주주환원율을 달성하기로 했다. 목표 수준 미달 시 주주환원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JB금융의 경우 하반기 또는 4분기 집중적으로 주주환원에 대해 투자자들과 소통할 계획이다. 올해는 반기 배당을 예정대로 실시하고 내년 분기배당을 적극 검토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이사회에서 논의하기로 했다.
김기홍 회장은 지난 4월 1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작년부터 중장기 배당 정책으로 CET1 비율이 12% 넘을 경우 자사주 매입 적극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사회에서 자사주 매입에 대해 검토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는 상황도 됐고 근거도 충분히 마련돼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