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규 LS전선 사장(사진)이 구자은닫기

R&D 자산화율이란 연구개발 성과를 특허 등을 확보하면서 자산화하는 수치를 말한다. 연구개발 성과를 특허 취득 등을 통해 실질적인 기업의 무형자산(개발비)으로 전환한 비율이다. 무형자산으로 전환된 연구개발 성과는 특허 획득 등을 토대로 상용화에 돌입한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S전선 지난해 R&D 자산화율은 119.14%다. 연구 개발 비용 444억 원, 개발비 529억 원을 기록했다.
2020년대 LS전선의 R&D 자산화율은 90%가 넘는다. 2020년 90.71%, 2021년 94.27%로 연구 성과 대부분을 특허 취득, 상용화에 돌입한 상태다.

연구 개발 분야는 케이블에 집중됐다. 지난해 LS전선 ▲해저광케이블 및 접속재 ▲LVDC 배전 케이블 실증 ▲친환경 PP소재 절연 전력 케이블 ▲탄소섬유 복합재 가공송전선 ▲초급속 충전케이블 PKG 개발 등의 연구 성과를 올렸다.
올해는 대만에서 성과를 냈다. LS전선은 지난 23일 대만전력공사(TPC)가 대만 서부 해상에 건설하는 풍력단지에 약 1100억 원 규모의 해저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LS전선은 대만 1차 해상풍력단지 건설사업 8개 프로젝트에 대한 초고압 해저케이블 공급권을 모두 따냈다. 현재까지 총 계약금액은 약 9000억 원이다.

LS전선 관계자는 "대만을 포함해 각각의 프로젝트에서 덴마크 오스테드와 CIP, 벨기에 안데눌, 독일 WPD 등 글로벌 해상풍력 사업자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향후 유럽과 북미 등에서도 시장 확대를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해부터 발주될 추가 해저케이블 시장 규모가 약 2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압도적인 해저케이블 제조 역량과 경험을 기반으로 KT서브마린과 협력, 시공 시장 진입을 통한 사업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구본규 LS전선 사장의 기술 경영은 구자은 LS그룹 회장의 '배·전·반(배터리·전기차·반도체)' 육성에 부합한다. 취임 3년 차인 구자은 회장은 해당 사업 부문을 육성해 50조 그룹으로 도약하겠다는 장기적 목표를 가지고 있다. 지난 27일 준공한 충남 아산 '황산 니켈' 공장도 해당 비전의 일환이다. 취임 당시 강조했던 '양손잡이 경영'을 위해 전선 부문 기술 고도화와 함께 미래 먹거리인 배터리, 전기차, 반도체 육성에 눈에 띄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