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오는 17일께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대추위)를 열고 계열사 CEO 인사를 단행할 예정이다. KB금융 대추위는 상시조직으로 윤종규닫기


앞서 KB금융은 지난 1일 차기 국민은행장을 선정하기 위한 대추위를 먼저 열고 차기 행장으로 이재근닫기

이 내정자가 국민은행장으로 선임되면 4대 시중은행장 가운데 가장 젊은 행장이 된다. 진옥동닫기








이중 이동철 국민카드 대표의 경우 지주 부회장 승진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허 행장이 내년 지주 부회장으로 이동한다는 사실만 확정됐다. 금융권에서는 허 행장에 이어 이동철 KB국민카드 대표까지 부회장에 오르면서 양종희닫기

박정림·김성현 KB증권 각자대표는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연임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대표의 경우 금융당국으로부터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해 문책경고를 받은 점이 변수지만 금융위원회의 의결이 내년으로 미뤄진 만큼 걸림돌이 사라졌다는 의견이 나온다. 박 대표는 증권업계 최초 여성 CEO로 금융지주 내 입지도 탄탄하다.
신한금융은 오는 16~17일경 자회사경영관리위원회(자경위)를 열고 계열사 CEO 인사에 나설 예정이다. 신한금융 자경위는 위원장인 조용병닫기

신한금융에서는 15개 계열사 가운데 9개 계열사 CEO가 오는 31일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영창 신한금융투자 대표, 이창구 신한자산운용 대표, 김희송 신한대체투자운용 대표, 남궁훈 신한리츠운용 대표, 배일규 아시아신탁 대표, 이성용 신한DS 대표, 배진수닫기

신한금융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계열사 사장단 인사에서도 안정에 방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주요 계열사 CEO에 임기 2년을 부여하며 큰 변화를 주지 않았던 만큼 올해도 같은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다.
우선 핵심 계열사 CEO의 임기가 아직 남아 주요 계열사 인사 이슈가 없다. 앞서 작년 말 신한금융은 진옥동 신한은행장, 임영진 신한카드 대표, 성대규 신한라이프 대표, 정운진 신한캐피탈 대표,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 등의 임기를 2년 연장한 바 있다.
일각에선 KB금융에 이어 신한금융도 세대교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나 내년이 조 회장의 두 번째 임기 마지막 해인 점을 고려하면 현시점에서 주요 계열사 CEO 거취에 급작스러운 변화를 주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신한금융 인사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자본시장 관련 계열사 CEO 거취다. 굵직한 계열사 가운데선 이영창 신한금융투자 대표의 임기가 만료된다. 외부출신인 이 대표는 지난해 3월 선임된 이후 각종 사모펀드 부실 사태를 빠르게 수습하고 올해 사상 최대실적을 이끌기도 했다. 다만 신한금융 내부에선 이 대표의 교체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온다.
자산운용사 CEO 거취도 조 회장의 고민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내년 1월 1일 신한대체투자운용과 합병되는 신한자산운용의 대표를 누가 맡을지가 주요 관심사다. 금융권에서는 이창구 신한자산운용 대표와 김희송 신한대체투자운용 대표 모두 연임한 뒤 합병 후 당분간 각자대표 체제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이후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할 것이란 분석이다.
내년 신한금융의 잔여지분 인수가 예정돼 있는 아시아신탁의 경우 올해 경영진 교체 가능성이 흘러나온다. 신한금융은 지난 2019년 아시아신탁 지분 60%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했다. 나머지 지분 40%는 내년에 마저 사들일 계획이다. 자회사 편입 당시 신한금융은 기존 CEO의 임기를 보장했다. 2014년부터 아시아신탁을 이끌고 있는 배일규 대표는 작년 말 1년 연임에 성공했다.
신한아이타스, 신한신용정보, 신한리츠운용, 신한AI 등도 CEO 교체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해 말 다른 계열사 CEO들이 모두 2년 임기로 연임한 가운데 이들 계열사 CEO는 임기 1년을 부여받은 만큼 올해 교체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조용병 회장의 3연임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올해 당장 큰 폭의 세대교체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며 “대체적으로 안정에 방점을 둔 인사를 단행하되 자본시장 계열사 CEO 인사에 대한 고민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