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2(금)

삼성·SK하이닉스, 지난해 4분기 D램 점유율 71.6%…슈퍼사이클로 상승 전망

기사입력 : 2021-03-05 13:39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삼성전자 42.1%, SK하이닉스 29.5%…전체 매출의 71.6% 차지
영업이익률은 감소…D램 평균판매가 하락 원인

2020년 4분기 글로벌 D램 제조사 매출 및 점유율. 자료=트렌드포스이미지 확대보기
2020년 4분기 글로벌 D램 제조사 매출 및 점유율. 자료=트렌드포스
[한국금융신문=정은경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지난해 4분기 글로벌 D램 시장 매출의 71%를 차지했다. 올해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K-반도체의 입지를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5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글로벌 D램 제조사들의 매출은 176억5200만 달러(약 19조 8585억원)로 전 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말 마이크론의 팹 정전사고와 주요 데이터센터 고객사들의 서버 D램 재고 조정 여파로 수요가 줄었다”면서도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공격적인 출하 덕분에 2020년 4분기 매출이 소폭 늘었다”고 분석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는 전체 매출의 42.1%를 차지하며 28년 연속 매출 1위를 유지해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3.1% 증가한 74억4000만달러(약 8조3916억원)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52억달러(5조8651억원)를 기록하며 전체 매출 2위에 올랐다. 전 분기 대비 5.6% 증가했다. 매출 기준 점유율도 29.5%를 차지하며, 30%에 육박했다. 이로써 한국 D램 제조사들의 매출이 전체 매출의 71.6%를 차지하게 됐다.

미국의 마이크론은 40억5600만달러(약 4조5748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7.2% 감소했다. 시장 점유율도 23%로 2% 포인트 줄었다. 트렌드포스는 “정전사고와 지난해 4분기 근무일수가 3분기보다 적었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영업이익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모두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41%에서 36%, SK하이닉스는 29%에서 26%, 마이크론은 25%에서 21%로 낮아졌다. 지난해 4분기 D램 평균판매가격(ASP)이 전 분기보다 5~10% 낮아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트렌드포스는 올 1분기 D램 가격 상승 영향으로 매출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PC, 모바일, 그래픽, 컨슈머 D램 등의 수요가 1분기 내내 안정적”이라며 “서버 분야에서도 주요 업체들의 재구매가 시작되면서 1분기부터 D램 가격이 오를 것”으로 봤다.

2020년 4분기 낸드플래시 매출 및 점유율. 자료=트렌드포스이미지 확대보기
2020년 4분기 낸드플래시 매출 및 점유율. 자료=트렌드포스
낸드플래시의 경우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41억달러로 전 분기보다 2.9% 감소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는 46억4000만달러(약 5조223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3.4% 감소한 수치다. 시장 점유율은 전 분기보다 1.5%포인트 증가한 32.9%로 1위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는 전 분기 대비 0.2% 소폭 감소한 16억4000만 달러(약 1조842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점유율은 0.1%포인트 줄면서 SK하이닉스가 11.6%를 차지했다. 키옥시아, WDC에 이어 글로벌 4위다.

SK하이닉스가 인수 준비 중인 인텔의 낸드 사업부는 지난해 4분기 12억800만 달러(약 1조358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점유율은 11.5%로 글로벌 6위다. 만일, SK하이닉스가 인텔 사업부 인수를 마무리 할 경우, 점유율은 20%를 넘어서면서 삼성전자에 이어 글로벌 2위에 오르게 된다.

트렌드포스는 “지난해 4분기 낸드 출하량은 전 분기보다 9% 늘었지만, 전체 평균판매가격(ASP)이 9% 가량 하락한 탓”이라며 “올 1분기에는 전통적인 비수기로 서버 및 데이터 센터 고객사들이 대규모 조달을 하진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정은경 기자기사 더보기

산업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