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곽호룡 기자] 현대자동차가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 확보를 위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뽑는 현재 방식보다 친환경적인 방식이다. 신기술이 성숙 단계에 이르면 수소를 수입해 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송 비용도 더욱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20일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호주 철광석 생산기업 포테스큐와 '혁신적 수소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보기(오른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줄리 셔틀워스 포테스큐 부사장, 지영조 현대자동차 전략기술본부장 사장, 피터 메이필드 CSIRO 환경·에너지·자원 부문 본부장, 제임스 최 주한 호주대사. 사진=현대차.
'달리는 공기청정기'로 불리는 수소차는 주행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공기까지 정화하는 등 친환경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수소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일어난다는 사실에는 자유롭지 못하다. 현재 수소는 천연가스를 분해해 수소를 추출하기 때문이다.
CSIRO는 호주의 풍부한 재생에너지에 기반한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현대차 등은 이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협력한다는 것이 이번 협약의 주 내용이다.
기술 상용화가 이뤄지면 친환경성 뿐만 아니라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암모니아는 액체 형태로 기체인 수소보다 부피가 적어 더 많은 양을 실어 나를 수 있기 때문이다. 수소를 수입해야 하는 한국 같은 국가는 수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셈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수소차를 둘러 싼 원가 경쟁력 확보는 현대차그룹의 '수소 대중화' 전략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정의선닫기정의선기사 모아보기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평소 "수소 사회를 위한 지름길은 없다"며 국제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할 것을 제안해 오고 있다.
지영조 현대자동차 사장은 "혁신적인 수소 공급 인프라 기술 개발은 한국과 호주의 수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수소 사회의 도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청정 수소에 기반한 글로벌 수소 인프라 사업 협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