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29일 하나은행이 금융당국의 DLF 중징계 효력을 정지해달라고 낸 집행정지 신청을 인용해 함영주 부회장과 장경훈닫기

법원 결정에 따라 본안 사건의 1심 선고일로부터 30일이 되는 날까지 함영주 부회장의 징계 효력은 정지된다. 일반적으로 1심 선고까지 1년정도 시간이 소요되며, 만일 본안소송이 대법원까지 가게 되면 최종 판결까지 2~3년 정도 징계 효력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금감원은 앞서 3월에 손태승닫기

하나은행은 사모펀드 신규 업무 6개월 정지 처분이 은행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도 함께 했으며, 법원은 일부 영업정지 6개월 및 과태료 부과에 대한 행정집행 정지 신청도 함께 인용했다.
하나은행은 사모펀드를 다시 판매할 수 있게 되면서 상품판매 재개를 위한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관련기사]
- 금감원, 손태승·함영주에 'DLF 중징계' 공식 통보
- 'DLF 사태' 손태승·함영주 중징계 금감원장 결재…금융위 절차 진행
- 손태승·함영주 결국 '중징계'…지배구조 격랑 휩싸인 우리·하나
- 금감원 DLF 제재심 함영주·손태승 중징계 철퇴…연임 제동
- 함영주 부회장·손태승 회장 DLF 제재심 문책경고(1보)
- 법원, 하나은행 DLF 징계 효력정지 가처분신청 인용
- 하나은행, DLF 고객정보 법무법인 제공…금감원, 제재 검토
- 하나은행, DLF 중징계 행정소송 제기
- 하나은행·우리은행, DLF 과태료 이의제기 신청
- 은행 펀드판매 잔고 '뚝'…DLF·라임 영향권
- DLF·라임사태로 지난해 은행 민원 7.4% 증가…금융민원 약 8만건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