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유신 한국핀테크지원센터장이 20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패널토론에서 마이데이터 산업의 과제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개인이 데이터 보유 기업에 개인정보 개방을 요청하면, 데이터 보유 기업은 마이데이터 사업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고,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정보 개방을 요청한 자에게 개인정보 통합조회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마이데이터 산업은 흩어진 개인신용정보를 통합해 수집하고,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 재무 상담,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등 맞춤형 금융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은행·카드·증권·보험 등 여러 금융기관에 개인 데이터가 분산되어 기관별 별도로 처리해야 했지만 마이데이터는 여러 금융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개인 데이터를 통합 및 분석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정유신 센터장은 “마이데이터 산업이 궁극적으로 개인의 데이터 활용도를 제고해 금융소비자가 겪는 정보 부족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하고, 금융상품 이용에 따른 시장 효율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유신 센터장은 마이데이터 산업의 과제로 기존 신용조회업과 명확하게 구분해 신금융 데이터산업의 육성과 경쟁,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 신용관리, 자산관리 및 자기정보 통제권 행사를 지원하는 다양한 부수 및 겸영업무 허용이 필요하며, 초기 단계부터 안정적이면서도 건전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허가제’를 도입 운영이 이뤄져야 한다.
정유신 센터장은 “철저한 안전 및 정보보안 장치의 마련과 확실한 본인인증 절차, 사업자의 정보활용·관리실태에 대한 상시감독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점진적으로 금융상품 정보의 API 전송 의무화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마이데이터 산업을 통한 금융산업 내 경쟁 및 효율성 제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3자의 서비스가 기존 금융회사에 의해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정유신 센터장 “마이데이터 도입으로 서비스경쟁 따른 금융소비자 보호도 강화”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류준우 보맵 대표이사 “마이데이터 통해 더 좋은 유통채널·상품 개발 추진”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권영탁 핀크 대표 “마이데이터 구축 위해 금융 및 핀테크 사업자 간 협쟁 필요”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이승효 카카오페이 부사장 “금융정보 통합조회, 마이데이터로 실시간성 확보할 수 있어”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이승효 카카오페이 부사장 “마이데이터 통해 자산관리 혁신 이룰 수 있어”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류준우 보맵 대표 "동남아 시장 진출 '메기' 역할할 것"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이승효 카카오페이 부사장 “사용자 편의가 최우선이나 보안 관리도 만전”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김진경 빅밸류 대표 “기존 금융사 실무부서와 협업해 실질적 서비스 내놔야”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유태현 신한카드 디지털First본부장 "핀테크-금융사 협업 핵심은 현실성"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이승효 카카오페이 부사장, 기존 금융상품에서 제외된 대학생·소상공인에 집중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류준우 보맵 대표 "데이터 융합으로 보험 불신 해소할 것"
- [2020 한국금융미래포럼] 모더레이터 나선 임종룡 "데이터3법 문턱넘어 발전시키는 일 남아"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