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오승혁 기자] 삼성전자가 17일 오후 LG전자가 서울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8K 기술설명회를 진행하며 삼성의 QLED는 진짜 8K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반격을 가했다.
이는 이달 초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국제 가전박람회 IFA 2019에서 LG전자의 8K 공격에 대해 여유와 무시로 일관하던 것과는 180도 달라진 양상이다.
이에 대해 업계는 LG전자의 비판 광고 효과와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 확산 및 오해를 우려하여 행보를 변경했다고 분석한다.
먼저, 삼성전자는 LG전자의 기자간담회가 끝난 몇 시간 뒤인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우면동 서울R&D캠퍼스에서 8K 설명 행사를 진행했다.
여기에서 삼성전자는 LG전자가 QLED가 픽셀 수만 충족시켰을 뿐 해상도 측면에서 화질선명도(CM)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는 것은 과거 아날로그 시대, 브라운관 TV의 기준을 억지로 적용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LG의 8K 올레드 TV가 8K 콘텐츠를 적확하게 구현하지 못하는 부분을 8K 영상, 이미지를 시연했을 때 글자가 뭉개지거나 화면이 깨지는점을 보여주며 지적했다.
그리고 지금은 8K 시장 성장을 위해 발전적 논의가 필요할 때이지 소모적 논쟁이 필요한 시기가 아니라며 LG전자의 비난을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 8K QLED 98형 모델의 모습/사진=삼성전자 한편, 삼성전자 측은 화질선명도는 1927년 발표된 개념이며 국제디스플레이계측위원회 역시 지난 2016년 5월 최신 디스플레이 평가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정한 바 있다고 첨언했다.
이어, 8K 협회에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하여 미래 시장을 만들어가기를 희망한다며 올해 초 삼성전자가 결성한 8K 협회에 들어가지 않은 LG전자를 저격한 발언을 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2019년 2분기 금액 기준 31.5% 점유율로 삼성전자는 글로벌 TV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집계했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