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부진과 중국산 디스플레이의 저가 공세로 인한 판매 이익 부진이라는 악재가 겹친 1분기에 비해서 상승한 이 실적에 대해 업계는 여전히 불안한 아쉬운 성적표라는 평가와 함께 정반대로 비 온 뒤에 땅이 굳는 것처럼 바닥을 다진 실적이 반등할 일만 남았다는 낙관론이 같이 등장한다.
영업이익 6조5000억 원의 경우 2018년 1분기 14조8700억 원과 비교하면 56.3% 하락하여 반 이상 급락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모두 악재를 맞이했던 지난 1분기와 비교하면 2700억 원 가량 상승하여 회복세를 보였다.
스마트폰 사업의 경우 갤럭시 S10의 판매량이 줄어드는 등 기세가 주춤하고 있고 반도체 업계의 불황이 지속하며 하반기에는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제재 등 대외적으로 불확실한 이슈가 공존하기 때문에 영업이익 6조 원대의 벽을 지켰다고 해도 안심하기는 힘든 아쉬운 성적표라고 업계는 이야기하고 있다.


2년 전인 2017년 2분기부터 2018년 4분기까지 7분기 연속으로 10조 원 이상의 흑자를 기록했던 삼성전자로서는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수익 개선책과 상황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스마트폰에 있어서는 갤럭시 S10이 2월 언팩 행사에서 공개된 후 현재 5달여의 시일이 지나 매출이 주춤해진 것을 하반기 갤럭시 노트10, 갤럭시 폴드 등 플래그십 5G 스마트폰 출시와 A, J 시리즈 등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중저가 스마트폰 라인의 확장으로 현 상황을 해결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메모리 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되는 것과 미중 무역 전쟁, 이재용닫기

이러한 일련의 상황 속에서 삼성전자의 매출 및 영업이익이 3분기에 낙관적인 예측과 같이 실적 상승의 결론을 맺을지 아니면 이어지는 불황 및 현황 유지 또는 하락의 결과를 보일지 기업의 향후 행보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