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는 티볼리때도 렉스턴때도 소비자 니즈를 정확히 파고 들었다. 현대기아차가 판매량 80%를 장악한 내수 시장에서 절대적으로 열세에 있던 작은 회사가 선전할 수 있었던 요인이었다.
그런데 왜 준중형SUV였을까?

이중 가장 많은 판매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2.0디젤이다.
올 1~2월 투싼은 6289대를 판매했는데 이 가운데 2.0디젤이 3262대(52%)를 차지했다. 스포티지는 4969대 중 3272대(66%)다.

중장기적으로는 수출 시장 경쟁도 고려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싼타페로 대표되는 중형SUV 판매량이 절대적이지만, 글로벌 시장에서는 C세그먼트로 분류되는 준중형SUV에 대한 수요가 많다. 당장 국내 수출 1,2위 닛산 로그와 현대 투싼도 준중형SUV다. 스포티지는 기아차 가운데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모델이다.
흑자전환이 절실한 쌍용차 입장에서는 국내 시장 성장세를 수출 회복으로 이어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형 코란도는 2216만~2993만원에 출시됐다. 경쟁차인 스포티지 2366만~2999만원이나 투싼 2381만~3112만원보다 싸고, 옵션 등을 고려하면 더 낮아진다. 하지만 변속기·연비 차이 등 고려하면 아주 낮은 가격만은 아니다.
쌍용차는 코란도를 이야기하며 유독 미래를 강조한다.
쌍용차 관계자는 코란도 첨단 기능을 설명하며 “투머치(과하다)가 아닐까 하는 의구심은 있었다”고 했다. 회사 상황과 시장판세에 맞는 판매전략을 짜는데 있어 솔직한 고민으로 들린다.
그럼에도 이번 코란도 타깃층은 “디지털에 익숙한 세대”라고 강조한 것은 자신감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자동차는 대다수 사람들이 선택하는 교통수단이다. 하지만 수천만원대를 형성하는 자동차를 고르는 일은 만만치 않다. 제목 '앗車차'처럼 놓치기 쉬운 차들의 이야기를 풀어나가 합리적인 소비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편집자]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