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몬은 이날 서울회생법원에서 관계인집회를 열고 지난달 법원에 제출한 회생계획안을 심의·의결한다. 회생계획안이 가결되기 위해서는 회생담보권자 조에서 4분의 3 이상, 회생채권자 조에서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문제는 주요 채권자들이 이를 받아들이냐 여부다. 채권 변제에 사용될 금액이 102억 원으로 전체 채권액(약 1조2000억 원)의 0.8%에 불과해서다.
전체 회생채권 중 현금으로 변제하는 채권은 0.7562%다. 나머지는 출자전환 후 소각한다. 회생채권 가운데 중소상공인 판매자와 소비자 등에 해당하는 상거래채권 규모가 총 7456억 원에 달하는 가운데 피해자들이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은 약 56억 원에 불과하다. 계열사 등 특수관계인 채권자의 변제율은 0.4817%로 더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현저히 낮은 변제금액과 우발이익이 피해자들을 얼마나 설득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물음표다. 채권자 설득에 실패하면 오아시스마켓의 티몬 인수는 무산된다. 일각에서는 부결 또는 정족수 미달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경우, 법원이 강제 인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앞서 오아시스마켓은 티몬 정상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고용보장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인수예정자로 선정된 뒤 티몬 직원의 고용을 5년간 보장하는 조건이 있었다. 하지만 오아시스마켓이 고용보장 약속을 어기고 직무전환과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조정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됐다. 이와 관련해 티몬 측은 “퇴사를 결정한 일부 인원들의 무분별한 회사 비방”이라고 일축했다.
오아시스마켓은 티몬 인수와 관련해 채권자와 법원 결정에 전적으로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회사 측은 “인수 절차에 있어 채권자들이 다양하게 구성돼 있고, 이해관계가 달라 채권자들의 의사가 전적으로 중요한 만큼 오아시스마켓은 채권자들의 의견을 겸허히 듣고 최종적으로 법원의 결정에 따를 계획”이라고 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