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혁닫기

AI가 고객 맞는 ‘미래형 영업점’ 확대
지난해 말, 신한은행은 대고객 창구 안내부터 주요 업무 등을 AI가 수행하는 미래형 영업점 모델을 선보였다.신한은행이 지난 2021년 도입한 디지로그 브랜치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미래형 특화 점포다.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고객을 위한 따뜻한 감성이 함께하는 공간을 만들어가겠다는 진옥동닫기

신한은행은 디지로그 브랜치에 AI 은행원을 도입해 통장 개설, 상품 가입, 대출 신청 등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기존 AI 은행원을 고도화해 고객 내점 시 창구 안내부터 상담 등 주요 업무를 모두 AI가 수행할 수 있는 ‘무인 영업점’ 형태의 AI 브랜치를 구축했다.
신한은행은 2021년 금융권 최초로 AI 은행원을 도입하며 영업점 디지털화를 추진해왔다. AI 은행원은 신한은행 영업점에 배치된 ‘디지털 데스크’, ‘스마트 키오스크’ 등 디지털기기를 통해 체크카드, 보안카드, 증명서 발급 등 64개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영업점 창구를 보완하고 있다.
AI 브랜치는 학습을 통해 성장하는 ‘플랫폼형’ 영업점으로서 고객 업무처리 및 서비스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전문업체의 AI 솔루션과 AI 은행원을 통해 확보되는 데이터 및 AI의 학습 능력을 바탕으로 AI 브랜치를 고도화·확대할 계획이다.
직원 돕는 인공지능 비서 ‘AI ONE’
신한은행은 대고객 서비스, 직원 업무 효율화 등 은행 업무 전반에서도 AI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2023년부터 생성형 AI를 금융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챗GPT 활용, 업무 지식 기반 대직원 질의응답(QA) 데모 등을 실시했다.여기에 지난해부터는 초거대 AI 활용을 위한 내부 금융 언어데이터 정비, 챗GPT 기반 대직원용 대화형 업무지식 QA 서비스 상용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9월 도입된 직원용 AI 업무비서 플랫폼 ‘AI ONE’은 이러한 노력의 결실 중 하나다.
신한은행 ‘AI ONE’은 기존 운영중인 업무지원시스템 ‘A.I 몰리’를 개편해 만들어졌으며 AI-STUDIO, AI-OCR, R비서 등 다양한 AI서비스를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게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 휴대용기기에서 음성인식으로 업무 지시가 가능한 ‘Speech to AI’를 구현해 접근성을 개선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AI ONE 플랫폼 구축은 영업점 직원이 고객에게 더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AI기술의 적용을 고도화하고 적용 범위를 확대해 더 나은 고객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호성 한국금융신문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