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LG유플러스는 올해 1분기 설비투자에 5192억원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43.6%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SK텔레콤과 KT의 CAPEX는 지난해보다 줄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통상적으로 이통사들의 CAPEX는 연초 대비 연말에 집중되는 편이다. LG유플러스의 설비투자 증가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발표 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을 통해 “통상 1분기에 설비투자 집행 비율이 낮고, 하반기에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지난해 추가 할당받은 3.5㎓ 주파수를 조기 활용해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CAPEX를 추가 집행했다”라고 밝혔다. 연간 CAPEX 수준에 대해선 “당초 투자 계획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3.5㎓ 주파수 대역을 추가 할당받았다. 그간 LG유플러스는 80㎒폭으로만 5G를 서비스해 경쟁사보다 품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지난해 3.4~3.42㎓ 대역, 20㎒폭 주파수 추가로 할당받았다.
당시 정부는 LG유플러스에 추가 할당을 결정하며, 오는 2025년까지 1만5000개의 신규 기지국을 구축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LG유플러스로선 경쟁사와 동일하게 100㎒를 서비스하게 된 만큼, 품질 격차를 줄이기 위해 투자를 조기 집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이통사들의 설비투자 활성화를 위해 SK텔레콤이 요구해 온 3.7㎓ 인접 대역 주파수 추가 할당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LG유플러스가 3.5㎓ 대역을 추가 할당을 받은 뒤 설비투자가 늘어난 만큼, 효용성이 높은 주파수를 할당해 품질 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얘기다.
유영상닫기
 유영상기사 모아보기 SK텔레콤 대표도 지난 3월 열린 정기주주총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추가 할당을 논의 중인 3.7㎓ 인접 대역 주파수에 대해 “여전히 (수요가) 존재한다. 할당받으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유영상기사 모아보기 SK텔레콤 대표도 지난 3월 열린 정기주주총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추가 할당을 논의 중인 3.7㎓ 인접 대역 주파수에 대해 “여전히 (수요가) 존재한다. 할당받으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앞서 SK텔레콤은 지난해 초 정부에 현재 사용 중인 주파수와 인접한 3.7~3.72㎓에 대한 추가 할당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연구반을 꾸려 논의 중이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아무런 답변도 내놓지 않았다. 대신 정부는 3.7~4.0㎓ 대역의 300㎒ 폭을 동시에 할당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투명성 낙제점 DB지주,김준기 지배력 여전 [기업지배구조 보고서]](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284&h=214&m=5&simg=2025101804481307397dd55077bc212411124362.jpg&nmt=18) 
								![방산 ‘극과 극’…한화에어로 vs KAI 차이나는 이유 [정답은 TSR]](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284&h=214&m=5&simg=2025100313192301779dd55077bc212411124362.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