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닫기

2020년 8월 신용정보법 개정 이후 금융데이터 관련 회사는 2021년 62개사에서 2022년 82개사로 늘어났다. 지난해 신설된 회사는 13개사로 이중 개인사업자CB는 2곳, 마이데이터사는 11곳이다.
지난해 말 기준 총 14개 CB사가 영업 중이다. 이 중 전업CB사는 10곳, 겸영CB사는 4곳이다. 지난해 전업CB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8203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인건비·감가상각비 등 증가로 전년 대비 10.3% 감소한 1312억원을 기록했다.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지난해 매출액은 2조1280억원으로 대부분의 매출은 핀테크·IT 사업자의 전자금융 수익에서 창출됐다. 마이데이터사 전체 64곳 중 60곳이 지난해 서비스를 출시했다. 서비스 가입자는 6646만명으로 전년 대비 약 9배 증가했다.
금감원은 "고유업무(신용정보통합관리) 수익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며 "인건비 및 마케팅 등 시장 선점을 위한 영업비용으로 적자를 시현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전문기관 4곳의 데이터결합 실적은 총 117건으로 전년(100건) 대비 17% 증가했다. 수수료 수입은 4억6000억원을 기록했다. 데이터 이용 목적은 신용평가모형 신규개발 및 고도화가 41.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금감원은 "안전한 데이터 결합·활용 환경 조성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및 보호 절차를 표준화하고 가명·익명정보 적정성 평가기준 정비 등 제도 개선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겸영·부수업무 신고 유연화 등 합리적 개선을 통해 신속한 신사업 추진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