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2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53%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3.82%)보다 0.29%포인트(p) 떨어진 수치다. 아울러 지난해 9월 기록한 3.40% 이후 가장 낮다.
이번 신규 코픽스 하락은 최근 은행권의 예금 금리 하락이 주 요인이다. 이날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대표 정기 예금 금리는 최고 연 3.5~4.1%다. 지난해 11월만해도 최고 금리가 연 5%를 넘어서기도 했다.
코픽스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SC제일·한국씨티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를 반영해 상승 또는 하락한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비용을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고,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의 경우다.
신규 취급액 기준과 잔액 기준 코픽스에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후순위채·전환사채 제외) 수신상품의 금리가 반영된다. 신잔액 기준 코픽스는 여기에 기타 예수금, 기타 차입금, 결제성 자금 등이 포함된다.
시중 은행들은 2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반영해 오는 16일부터 대출 금리를 조정한다. 국민은행은 주담대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를 반영한 변동금리가 연 4.92∼6.32%에서 연 4.33∼5.73%로 하락한다. 전세자금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의 금리도 연 4.53∼5.93%에서 연 3.94∼5.34%로 떨어진다. 이는 코픽스 하락 폭(0.29%포인트)에 국민은행 자체 결정에 따른 가계대출 가산금리 인하(0.3%포인트)가 적용된 결과로 알려졌다.
우리·농협은행은 각각 연 5.39~6.39%에서 연 5.1~6.1%로, 연 4.53~5.84%에서 연 4.24∼5.55%로 인하한다.
은행연 측은 “코픽스 연동 대출을 받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특징을 충분히 이해한 후 신중하게 대출 상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