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혁 손해보험협회 소비자서비스본부장은 29일 오전9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 '보험 관련 공공언어 사용 실태 및 개선방안, 쉬운 우리말쓰기 정책 토론회' 패널토론에서 어려운 보험용어 순화를 위한 협회 노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신종혁 본부장은 보험업계에서 두차례 용어 개선을 추진했으며 업계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 본부장은 "과거 2004년, 2013년 두 차례 보험 용어를 쉽게 바꾸는 작업을 진행했다"라며 "2004년은 배상 등 한자어를 풀어 쓰는 형태로 30개 정도 개선했고 2013년에는 보험을 포함해 금융권 전반반 표준약관 용어에 설명을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용어 자체가 법적 책임과 연관돼있으며 의학적용어라 개선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신종혁 본부장은 "(용어를) 좀 더 쉽고 친화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공부는 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약관 관련해 법률적인 책임이라든지 의학적인 용어가 있어 쉬운 용어로 바꾸는게 용이하지 않다"라며 "표준약관 개정과 연결되므로 감독당국 협조가 필요하다. 당국과 협조가 시작된다면 한번 같이 머리를 맞대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관련기사]
- 진정 연구원 "보험용어 한자어 고학력자도 이해 어려워…금융교육 부재도 영향" [쉬운 우리말쓰기 정책 토론회]
- 강정화 한소연 회장 “눈속임 설계 ‘다크패턴’ 주의해야”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
- 이성복 선임연구위원 “금융상품 중요한 사항 소비자에게 명확히 전달”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
- 이성복 선임연구위원 “금융상품 정보 쉬운 우리말로 충실히 전달”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
- 진정 연구원 "상품 설명서, 약관 상 한자어 상품 정확한 이해 떨어뜨려" [쉬운 우리말쓰기 정책 토론회]
- 진정 연구원 "뜻 명확하고 짧은 보험 순화어 선호도 높아" [쉬운 우리말쓰기 정책 토론회]
- 윤창현 의원 “어려운 금융 용어 우리말로 바로잡아야”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
- 진정 연구원 "종신보험 등 보험용어 정확히 이해하는 대학생 없어"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
- 진정 연구원 "보험업계 보도자료 외래용어, 한자어 남용 많아"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
- [포토] 순우리말 정책 토론회에 축사하는 권성동 의원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