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쉬운 우리말 쓰기 정책 토론회’에서 강 회장은 ‘보험 소비자정보와 사용언어’를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이같이 밝혔다.
강 회장은 다크패턴이 소비자불만 사례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저축성보험의 경우 환급금이 적다는 불만, 종신보험에 가입됐다는 불만이 접수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저축성보험이 저축‧보장기능을 함께 가진 보험임에도 저축이 강조된다”며 “‘원금 보장과 수익성을 동시에’ 같은 문구는 원금 손실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한다”고 꼬집었다. 또 “사업비에 대한 설명이 대부분 생략된다”고 비판했다.
어렵고 긴 상품명, 평소 사용하는 용어와 다른 약관 용어 등도 지적했다.
강 회장은 “가입한 보험명을 약정서 없이는 말하기 어렵다”며 “어려운 약관 용어를 쉽게 설명하고자 하면서 오인이 생기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강조되는 용어와 생략되는 용어가 있다”며 “정보전달이 균형있게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고 보탰다.
그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정보의 양과 품질, 이해하기 쉬운 용어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또 “사업자의 공공성‧윤리성 제고가 요구된다”며 ”소비자의 데이터 주권을 존중하고 역량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회장은 G20 소비자 정상회담에서 언급된 ‘디지털화가 경제‧산업 혁신과 사회 발전의 핵심 요인’, ‘디지털 소비자 신뢰의 창출은 4차 산업혁명의 성공, 관련 시장 성장 열쇠’를 인용하며 “소비자의 주제적 역량 강화와 금융당국‧사업자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