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3.00%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올해 들어 지난 1월과 4월, 5월과 7월, 8월, 10월에 이은 일곱번째 기준금리 인상이다.
은행권은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수신금리 인상 검토에 들어갔다.
통상 은행들의 수신금리 조정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3~4영업일 이후에 이뤄졌으나 지난해 11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 은행들이 기준금리 변동을 수신금리에 반영하는 속도가 대폭 빨라졌다.
당시 대출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는 반면 수신금리는 사실상 제자리 수준에 머무는 등 예대금리차가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은행 폭리 논란이 거세졌기 때문이다.
올해도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고 은행 예대금리차 공시제도 등이 도입되면서 은행들은 경쟁적으로 예적금 금리를 높여 왔다.
여기에 최근 금융당국의 요청에 따라 은행들은 은행채 발행을 줄이는 대신 예금 유치를 통한 자금 조달을 위해 금리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에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연 5%를 돌파한 상태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은행들은 이날 기준금리 인상 이후 수신 금리 인상 속도와 폭을 두고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금융당국이 수신금리 인상을 자제하라고까지 요청하면서 ‘눈치 보기’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전날 '금융권 자금흐름 점검·소통 회의'를 열고 금융권에 자금확보 과당경쟁을 자제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기업 대출 수요 대응 등 자금 확보 필요성 등을 고려하면 금리를 동결할 수도 없다는 게 은행권 입장이다. 이에 일부 상품만 금리를 올리는 방안 등도 검토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기준금리 인상이 베이비 스텝(0.25%포인트 인상)인 데다 당국 메시지가 나오고 있어서 이전과 같이 빠르게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다”라며 “금리를 아예 올리지 않을 수는 없고 시간을 두고 인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의 고민은 더 깊어질 전망이다. 채권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해 금융당국이 은행에 은행채 발행 자제를 주문한 데 더해 수신 금리 인상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은행의 대표적인 자금 조달 수단은 은행채 발행과 예금 수신이다.
이복현닫기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