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뱅크의 모회사 카카오는 지난 15일 오후 3시 30분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SK C&C 판교캠퍼스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로 일부 서비스가 장시간 먹통이 된 바 있다.
이날 국감에서 윤 대표는 카카오 먹통 사태와 관련한 카카오뱅크의 재난 대응에 질타를 받았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금융감독원이 카카오뱅크 재해복구센터 내 대외기관 통신망 구축과 관련해 점검한 결과 일부 주요 업무 등 대외기관과의 통신망이 재해복구센터에 구성돼 있지 않아 주 전산망에 재해 발생 시 관련 업무가 중단될 우려가 있다”며 “미구축 대외기관과 통신망을 구축하라는 등의 금감원 가이드라인을 받았냐”고 질의했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지난 7월 재해 발생 시 업무연속성계획(BCP)의 실효성이 떨어져 금감원으로부터 개선을 권고받았다. 신용대출과 햇살론, 휴면 예금 찾기 등과 관련한 대외기관과의 통신망이 재해복구센터에 구축되지 않아 주전산센터 재해 발생 시 관련 업무가 중단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윤 대표는 “금감원에서 지적한 사항은 대고객 서비스가 아니라 카카오뱅크가 가지고 있는 내부 자산을 데이터센터에 보관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라며 “지적한 대로 완료했다”고 대답했다.
이어 그는 데이터 분산 여부 질의에도 “삼중의 데이터센터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복현닫기

이 원장은 “전자금융사고가 나면 금융당국에 신고가 지체 없이 이뤄져야 한다”며 “금융사들이 자의적으로 신고 시점을 해석할 수 있다. 하부 규정에 1영업일 이내 신고해야 한다고 했지만 이번에는 그 규정을 (카카오뱅크가) 우회한 부분이 있다”며 “필요하면 규정을 바꾸거나 해석 관련 지침을 내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자체적인 피해 보상 준비금의 여지가 없는지 회계 규정도 보고, 자발적으로 안 된다면 금융위원회와 협의해서 최저 보상 한도를 크게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