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한국부동산원 부동산 거래 현황에 따르면 작년 전국 순수토지 거래량은 124만8084건(필지)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연간으로 가장 많다. 2020년(113만569건)보다 10.4% 증가한 수치다.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거래량 통계는 신고 일자 기준으로 지분 거래와 매매, 증여, 교환, 판결 등이 모두 포함됐다.
앞서 전국 순수토지 거래량은 지난 2006년 90만에서 2017년 110만건대로 점차 올라선 바 있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순수토지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로 확인됐다. 지난해 31만7838건을 기록해 처음으로 30만건을 넘어섰다. 또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5%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충남(13만8999건) ▲전남(13만5407건) ▲전북(9만646건) ▲충북(7만5644건) ▲인천(3만2919건)에서도 순수토지 거래량이 크게 늘어 연간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올해도 토지시장은 뜨거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의 대규모 토지 보상금과 여야 후보들이 내놓은 교통 개발 대선 공약 때문이다.
부동산개발정보 플랫폼 지존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서 토지 보상이 예정된 사업지구는 공공주택지구, 도시개발사업, 산업단지, 연구개발특구·투자선도지구 등 총 92곳이다. 이들 지역 토지 보상금 규모는 약 30조5628원으로 추산된다.
매년 정부가 집행하는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토지 보상금 규모가 통상 1조5000억원인 점까지 감안하면 올해 전국에서 풀리는 토지 보상금 총 규모는 32조628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3월 대선을 앞두고 여야 후보 모두 ‘출퇴근 지옥 해소’를 목적으로 인프라 확충을 전면 내세웠다. 이재명과 윤석열닫기

여 수석연구원은 “예정된 토지 보상금이 대거 풀리면 인근 지역으로 재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대선 후보들이 내놓은 각종 개발 공약도 영향을 미쳐 올해도 토지거래 시장은 호황을 누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