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압류 재산 고매 데이터를 적극 공개하고, 공매에 관한 이해 및 입찰 참여를 돕고자 12일 창간한 ‘공매(압류 재산) 트렌드 보고서(Report)’ 표지./사진=캠코
[한국금융신문 임지윤 기자]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는 압류 재산 공매 데이터를 적극 공개하고, 공매에 관한 이해 및 입찰 참여를 돕고자 ‘공매(압류 재산) 트렌드 보고서(Report)’를 창간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으로 분기별로 정기간행물을 발간할 예정이다.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는 분기별 ▲압류 재산 매각 현황‧추이 ▲지역‧용도별 매각 현황 ▲낙찰자 분석 현황 ▲공‧경매 낙찰가율 비교 ▲특이 인기 물건 등 공매와 관련해 유용한 정보들로 구성했다.
공매 리포트 창간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공매 입찰은 2704건 진행됐다. 이 중 1725건이 낙찰돼 낙찰률은 63.8%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84.9%, 경쟁률은 2.81:1로 나타났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다.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서면 낙찰된 물건의 입찰 가격이 감정가보다 높다는 뜻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압류 재산 매각 유예 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는 입찰건수가 다소 감소했으나, 공매 관심 확대 등으로 낙찰건수와 낙찰률은 상승했다고 캠코는 전했다.
또한 입찰 준비 기간이 포함된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 실제 입찰에 부쳐지는 건수가 증가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7월부터 다음 달까지의 입찰 물건은 상반기에 비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