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보 원장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인사말을 통해 “금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공정한 시장 질서를 확립하겠다”며, “포용 금융을 확대하고, 금융혁신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정은보 원장은 코로나19 및 대내외 금융 불안 요인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금융시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정은보 원장은 “가계부채 증가 등 과잉 유동성에 기인한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금융시스템 복원력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금감원은 소상공인 중소기업 대상 금융 지원과 건전성 규제 유연화 조치 등을 추가로 연장해 실물경제를 지원하며, 향후 정상화시 단계적 연착륙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정은보 원장은 가상자산 시장과 관련해 “미신고 사업자의 불법행위로 인한 이용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적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대규모 환불 사태를 일으킨 머지포인트 사태와 관련해서는 수사당국과의 공조를 통해 고객 자산 등 정확한 현황 파악에 주력하고, 제도 개선 및 유사사례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자본시장 특별사법경찰(특사경) 운영 강화 계획도 밝혔다. 정은보 원장은 “특사경 운영을 강화해 불공정거래 대응 수단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이상 급등주·테마주를 밀착 감시하는 등 건전한 자본시장 질서를 확립하겠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사회 양극화 완화를 위한 포용 금융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금감원은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상 애로 청취를 위해 위기관리 현장지원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회사 컨설팅 서비스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다.
정은보 원장은 금융의 디지털화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는 등 금융 혁신 지원 계획도 밝혔다. 정은보 원장은 “데이터산업 육성과 소비자 편익 제고를 위해 도입된 마이데이터 및 P2P 금융 등에 대한 허가·등록 심사업무를 차질없이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AI·빅데이터에 기반한 감독시스템을 구축하고 탄소배출 감축 시나리오를 고려한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모형을 개발하는 등 미래 금융에 대한 감독 역량도 강화할 계획이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