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정은보 금융감독원장(왼쪽 네 번째)은 13일 산관학 협력 국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행사에 참석했다. /사진=금감원
[한국금융신문 김경찬 기자] 금융감독원이 산·관·학 협력으로 국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프론티어-1.5D) 개발을 추진한다.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인한 기업 및 금융회사의 손실을 예측해 경영 의사결정에 활용될 예정이다.
금감원은 13일 국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정은보닫기정은보기사 모아보기 금융감독원장을 비롯해 Simon Smith 주한 영국대사와 Nigel Topping 영국 정부 COP26 고위급 기후대응대사, 김은미 이화여대 총장, 김준닫기김준기사 모아보기 SK이노베이션 대표, 최은석닫기최은석기사 모아보기 CJ제일제당 대표,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윤종규닫기윤종규기사 모아보기 KB금융지주 회장, 조용병닫기조용병기사 모아보기 신한금융지주 회장 등이 참석했다.
금감원은 BIS(국제결제은행)가 제시한 금융당국의 역할에 기반해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며, 기업은 해당 업종별 기후리스크 관련 데이터 분석 및 연구협력을, 이화여대는 연구방법론 및 모형 개발을, 영국대사관은 관련 자문 제공 등의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BIS는 정부, 기업,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합리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이 입장을 조율하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은 기후변화 및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인한 기업 및 금융회사의 손실을 예측해 경영 의사결정의 불확실성 관리에 활용될 예정이다. 협약 참여기관들은 공동으로 모형을 개발한 후 각자의 니즈에 맞게 변형해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금융회사 및 기업이 기후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규제가 아닌 지원’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계획이며, 금융감독 뿐만 아니라 산업 및 경제 측면에서 상당한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금융감독 측면에서 기후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감독 역량이 강화될 전망이며, 산업·경제 측면에서는 기업의 기후리스크 관련 경영 불확실성을 관리하고 친환경적 경영전략 수립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해 금융 감독당국과 기업·학계·외국당국이 처음 시도하는 협력 방식으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은 녹색금융 추진 TF를 통해 추진중인 기후리스크 관리·감독계획에 반영될 예정이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