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풀려난 이 부회장은 “저에 대한 큰 걱정과 우려, 기대를 잘 듣고 있다”며 “열심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삼성전자는 총수 부재로 투자가 둔화됐다. 이번 가석방을 통해 향후 이 부회장이 경영 일선에 복귀한다면 지난 2019년에 발표한 ‘반도체 비전 2030’ 등이 구체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전 2030을 통해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파운드리 반도체 글로벌 1위 도약 의지를 밝혔다.
평택캠퍼스 추가 투자와 인공지능 등 미래 사업 분야 인수합병 등도 이 부회장의 복귀와 맞물린 시장의 관심 사안이다. 실제로 삼성그룹은 지난 2016년 말 전장기업 하만 이후 굵직한 M&A가 없는 상황이다.
이 부회장의 가석방은 삼성SDI 미국 공장 설립 추진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SDI는 현재 미국 일리노이주에 배터리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해당 공장 설립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의 미국 진출을 꾀할 계획이다. 주요 타깃 차량은 미국 선호도가 높은 픽업트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이 부회장 가석방은 국익을 위한 선택으로 받아들이며 엄중한 위기 상황에서 반도체와 백신 분야에서 역할을 기대하는 국민 요구가 많다”며 가석방 이후 경영 복귀 시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관련기사]
- 이재용, 오늘(13일) 가석방…삼성전자 첫 단협 성공 등 ‘뉴삼성’ 시동
- 삼성전자, 이재용 가석방에도 또다시 ‘7만전자’...향후 전망은?
- 이재용 가석방에도 힘 못쓴 삼성그룹株...반등 기대 속 희비 엇갈려
- [특징주] 삼성그룹주, 이재용 부회장 가석방 소식에도 '약세’
- [이재용 가석방] 경제단체 “이재용 부회장 가석방, 아쉽지만 환영”
- 상장협 “이재용 가석방, 경제 위기 극복 원동력될 것”
- 이재용 부회장, 오는 13일 출소…삼성, 투자 시계 빨라지나
- [속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가석방 허가…재수감 207일만
- 법무부, 9일 ‘가석방심사위원회’ 개최…이재용 복귀 이뤄질까
- 이재용 부회장 사면여부 촉각…경제 5단체장, 다음주 홍남기 부총리와 회동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