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 LG유플러스 2019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표지/사진=LG유플러스 [한국금융신문=정은경 기자] “전 사업영역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추진하여 고객 경험 혁신을 더욱 가속화 하고자 한다.”
하현회 닫기 하현회 기사 모아보기 LG유플러스 부회장은 13일 발간한 ‘2019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내 CEO 메시지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발간된 LG유플러스의 ‘2019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고객, 주주 등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자 국내 통신사 중 최초로 ‘인터랙티브(양방향)’ 형식으로 발간됐다.
하 부회장은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ABC(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를 새로운 핵심 인프라에 집중하고, B2B(기업 간 거래) 및 B2G(기업이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 사업에서 고객 가치를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는 중대성 평가를 통해 선별한 중요 이슈를 ‘집중보고’와 ‘지속가능 매커니즘’ 파트로 구분해 회사의 경제, 사회, 환경, 지배구조 성과와 향후 계획을 제시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가치창출 프로세스'를 새롭게 추가해 이해도를 높였다./사진=LG유플러스 또한 핵심 콘텐츠 ‘가치창출 프로세스’를 새롭게 추가했다. 가치창출 프로세스는 국제통합보고위원회(IIRC)가 제시한 비재무정보 공개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회사의 사업 성과와 영향을 이해관계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차트 형태로 만들었다.
LG유플러스는 그간 인쇄물로 발행해오던 보고서를 ‘인터랙티브 PDF’ 포맷으로 제작했다. 이들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보고서 독자와 디지털 소통을 확대하고자 PDF로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독자들은 보고서 내 다양한 링크를 클릭해가며 관련 영상, 웹사이트와 연결할 수 있으며, 원하는 지속가능성 정보를 더욱 풍부하게 알 수 있게 됐다.
백용대 LG유플러스 CSR 팀장은 “경제, 사회, 환경 분야의 가치창출 활동과 성과를 객관적으로 담아내도록 노력했다”며 “교육, 기후변화 등 17개 지속가능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혁신 활동을 지속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 측은 “보고서 작성 기준으로 GRI(지속 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제기구)를 적용했으며, 보고 내용에 대한 신뢰성 확보 절차로 노르웨이 에너지 컨설팅업체 ‘DNV GL’을 전문검증기관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