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
은성수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이 3일 정부가 발표한 정책형 뉴딜펀드와 관련해 "원금보장은 아니지만 사실상 원금보장의 효과가 있다"고 제시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리고 온라인으로 진행된 '국민참여형 뉴딜펀드 조성 및 뉴딜금융 지원방안' 브리핑에서 그동안 뉴딜펀드가 원금보장을 추구한다고 표현된 것에 대한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은성수 위원장은 "후순위 출자를 통해 평균 35%는 정부와 정책금융이 커버한다는 것은 이 펀드가 투자해서 손실이 35% 날 때까지는 이를 다 흡수한다는 얘기"라며 "이 사업이 원유를 개발한다든지 그런 경우는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마는 대개 이 사업이 상대방이 공공기관이고 그렇기 때문에 손실이 그렇게 난다는 것은 상상할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이미 실체가 있는 거고 또 거래 상대방도 정해진 그런 사업이기 때문에, 대개 대체적으로는 안정적이지만 그래도 정부가 안심을 하기 위해서 평균 35%를 후순위 출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여기에 홍남기닫기
홍남기기사 모아보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공 출자가 평균 35%로 고정된 것은 아니고 어떤 것은 20%, 어떤 것은 40%가 될 수 있고 차이가 있다"며 "손실이 얼마 났는 지 어떻게 커버할 지는 그 자펀드에 얼마만큼 정부 출자자금과 정책금융이 들어간 퍼센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책형 뉴딜펀드 목표 수익률 관련해서는 국고채 이자보다 나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언급했다.
은성수 위원장은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목표수익률이 사전적으로는 어렵겠습니다만 국고채 이자보다는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것으로 예상하고 그래야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