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곽호룡 기자] 신학철닫기신학철기사 모아보기 LG화학 부회장이 15일 "전기차 배터리 사업은 제2의 반도체로 불릴 정도로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는 미래 성장동력"이라며 "세계 배터리 시장을 제패하기 위해서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과 상생협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다.
이날 신 부회장은 배터리 협력사인 경남 함안 동신모텍과 대구 신성에프에이를 방문해 이같이 말했다고 LG화학이 밝혔다.
신 부회장은 "소·부·장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했다.
신 부회장이 협력사와 협업을 강조하고 나선 것은 공격적인 배터리 사업 확장에 따라 관련 소재·장비 중요성도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LG화학은 2024년 배터리사업부 매출을 올해 3배 이상인 30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LG화학은 배터리 소재·부품·장비 구입액도 매년 4조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4월 LG화학은 협력사의 신제품 개발 지원 등을 위해 432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기도 했다.
한편 동신모텍은 전기차 배터리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생산하는 '팩 하우징' 기술력을 갖춘 부품업체다. 2015년 동신모텍은 프레스 성형 기술을 통해 LG화학과 배터리팩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일체형 상단 케이스 개발했다.
신성에프에이는 전기차 배터리 조립라인을 생산하는 장비업체다. LG화학과 기술협력으로 배터리 모듈과 팩 조립라인을 1개로 통합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LG화학 폴란드 배터리 공장에 적용된 바 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