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부문 수익성 개선, 실적 견인
국제유가 약세 따른 원가 안정화, 석유화학 산업 다운사이클 본격화 반영
[한국금융신문 오승혁 기자] 한화케미칼이 13일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2조 4412억 원의 매출과 152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화케미칼의 지난해 3분기와 비교했을 때 영업이익은 62.56%, 매출액은 5.6% 증가했다.
3분기 누적 기준 영업이익은 3483억 원으로 지난해 4502억 원보다 약 23%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보기△한화케미칼의 2019년 3분기 매출, 영업익 실적표/사진=오승혁 기자(자료 편집)
한화케미칼의 태양광 부문 수익성 개선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 약세에 따른 원가 안정화와 석유화학 산업의 다운사이클(하강국면)이 본격화된 지난해 3분기의 기저효과도 반영되었다고 한화케미칼은 분석한다.
기초소재 부문에서는 미중 무역 분쟁의 영향에 따른 수요 부진 속에서도 원료 가격 하락으로 주요 제품인 PE(폴리에틸렌), PVC(폴리염화비닐)의 스프레드(원료와최종제품의 가격차이)가 확대됐다. 폴리실리콘은 국제가 약세영향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이미지 확대보기△한화케미칼 기초소재 부문 매출, 영업이익 인포그래픽/사진=오승혁 기자(자료 편집)
태양광 부문은 656억 원의 영업이익을기록했다. 올해 들어 3분기 연속 흑자로 누적 기준 영업이익은1472억 원이다.
연초부터 진행해 온 멀티(Multi, 다결정) 제품의 모노(Mono, 단결정) 전환 생산 효과와 주요 판매 지역인 미국과 유럽 시장의 수요 확대로 출하량과 판매가격 모두 상승했다. 모노 제품은 멀티 대비 효율이 좋은 프리미엄 제품으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수요가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공소재 부문은 신차 및 신규 휴대폰 출시 효과로 전분기 대비 적자폭이 축소됐다.
이미지 확대보기△한화케미칼 가공소재 부문 매출, 영업이익 인포그래픽/사진=오승혁 기자(자료 편집)
4분기는 글로벌 수요 부진, 계절적 비수기 등의 영향으로 주요 제품의 가격 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미중 무역분쟁 완화 시에는 수요 반등에 따른 시황 회복도 기대된다. 태양광부문은 모노 제품으로의 생산 라인 전환 작업을 지속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판매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