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는 13일 오후 쟁의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오는 14~20일을 집중교섭기간으로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현대차 노조가 이번주부터 파업을 위한 본격적인 지침 등을 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일본정부가 지난달부터 올초까지 반도체 등 소재 규제·백색국가 제외 등 잇따라 한국에 대한 무역보복 조치를 취하며 상황이 변했다. 이에 따라 노조도 파업강행에 따른 국내 산업계 위기감과과 여론악화 등을 고려해 이같은 방침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조는 16차 교섭 결렬 이유인 사측의 임단협 일괄제시안을 다시 한 번 요구하며 파업 가능성을 열어놨다. 하 지부장은 "사측이 노조의 진정성을 무시하고 구태의연한 교섭태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교섭을 진행한다면 국민적 우려와 불신의 시선을 감내하면서 당당히 갈 길을 갈 것"이라고 했다.
실제 이날 쟁대위에서도 오는 19일부터 모든 특근을 거부하고 향후 쟁대위를 다시 열어 앞으로 방침에 대해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양사 노조는 정년연장, 신규인원충원 등을 올해 임단협 핵심 요구사항으로 내세우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상여금 통상임금 적용 등 임금과 관련한 입장도 사측과 이견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