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SK이노베이션이 개발한 휘는 디스플레이 소재 `플렉시블 커버 윈도` (사진=SK이노베이션)
[한국금융신문 박주석 기자] SK이노베이션이 미래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를 CES 2019에서 공개한다.
SK이노베이션(대표이사 김준닫기김준기사 모아보기)은 차세대 휴대용 제품으로 부상하고 있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휘어지거나 접어지는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인 FCW*(Flexible Cover Window)를 개발했으며, ‘CES 2019’에서 선보일 것이라고 30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등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세계 최대 소비자 전자제품 전시회(CES)에서 첫 선을 보이는 만큼 CES 참여 업체들 및 관람객들의 이목을 사로잡을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06년부터 관련 소재 양산을 통해 축적한 PI(Polyimide film, 폴리이미드 필름)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을 시작했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사업화 준비를 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특수하드코팅 기술과 지문, 오염방지 등을 위한 기능성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투명성을 가지면서 높은 수준의 접힘성과 강도, 내스크레치 특성을 보유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구현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투명 PI필름 제조와 하드코팅 및 기능성 코팅까지 토탈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SK이노베이션의 장점”이라며 “전세계 시장점유율 2위에 올라있는 LiBS(Lithum-ion Battery Separator, 리튬이온배터리분리막) 등 오랜 기간 쌓아온 소재개발 역량을 토대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SA(Strategy Analytics)는 향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주요 시장인 글로벌 폴더블폰 예상 판매량이 2022년 5,010만대 수준으로 확대되고 이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시장 확대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내년 초 데모 플랜트를 완공, FCW 제품 실증을 통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에 참여할 계획이다. 지난 2분기엔 충북 증평 LiBS 공장 내 부지에 약 400억원을 투자, 2019년 하반기 상업가동을 목표로 FCW 양산 공장을 건설 중이다.
SK이노베이션 노재석 소재사업대표는 “확보한 기술과 마케팅 역량을 총 동원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시장 확대에 대응할 준비가 다 되어 있다”며 “인류의 행복을 키우는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과 SK이노베이션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BM혁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