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LG유플러스는 LG전자, LG CNS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 기술 실증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사진은 (왼쪽부터) 유우진 LG전자 Open Innovation TF 담당, 박완규 LG전자 칠러사업담당,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담당, 오중수 LG CNS 스마트시티서비스담당이 2일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LG유플러스
[한국금융신문 정채윤 기자] LG유플러스는 LG전자, LG CNS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 기술(DCIM)실증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LG그룹 계열사 간 협력모델을 기반으로 추진되며,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높이는 고도화된 관리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AI를 통해 냉방 설비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고, 가상 환경에서 운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냉각 에너지 소비를 최대 10%까지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실증은 오는 9월 LG유플러스 평촌2센터에서 우선 진행된다. 냉동기와 컴퓨터룸 공조기(CRAC) 등 주요 설비에 AI 제어 알고리즘과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적용한다. LG유플러스는 현재 평촌1·2, 가산, 서초1센터를 통합운영시스템으로 관리 중이다. 올해 안에 논현·상암센터까지 운영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디지털 트윈 기반 CRAC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평촌2센터 설비에 적용해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환경을 정밀하게 모사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바탕으로 AI 모델을 설계하고, 향후 다양한 센터로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평촌2센터 내 전용 PoC 테스트룸을 구성해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제어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으며, 프로젝트 전반을 리딩한다. 실증 결과는 향후 파주센터를 포함한 LG유플러스 주요 데이터센터로 확대될 예정이다.
세 회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실증 중심의 운영 노하우를 쌓고 그룹 내부에서 자립적인 기술 체계를 구축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담당(상무)은 “국내데이터센터업계에서도 AI 기반운영시스템에대한관심은높지만실제적용사례는아직많지않다”며 “이번실증을통해냉각전력의효율을높이고그룹차원의스마트데이터센터경쟁력을강화해나가겠다”고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