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이자마진·순수수료이익 뿐만 아니라 고정이하여신비율,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까지 하락하면서 이 행장의 '새로고침' 전략이 시험대에 오른 것이다.

순이익 163.5% 급증했지만···NIM은 '감소'

24일 KB금융지주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1분기보다 무려 163.5% 증가한 1조 264억원을 기록했다.
문제는 기저효과로 상승한 당기순이익을 제외하고는 눈에 띄는 수익성 지표를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1분기 순이자이익은 2조 5530억원으로 1.7% 상승하는 데에 그쳤고, 이로 인해 순이자마진(NIM)은 0.11%p 하락하며 1.76%에 머물렀다.

양종희닫기

비이자이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순수수료이익의 경우 올 1분기 10.1% 하락하며 2702억원에 그쳤다.
이환주 행장은 취임사를 통해 "'새로고침'의 방식으로 혁신해야 한다"며 "각 비즈니스가 지향하는 목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재정의·재설계 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이 행자의 전략이 성과를 내기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인한 이자수익 부진, 대내외 변동성 확대와 고환율 등 문제로 은행에는 쉽지 않은 경영환경이었다"고 설명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연체율 등 건전성도 악화

수익성뿐만 아니라 건전성 지표도 과제로 떠올랐다.
국민은행의 1분기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0.40%로 전년도에 비해 0.07%p 상승했다. 2023년 1분기와 비교하면 0.17%p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을 완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NPL 커버리지 비율도 2023년 1분기에는 519.1%에 달했지만, 올해 1분기에는 300% 밑으로 떨어져 298.9%에 그쳤다.
연체율의 경우 지난해에는 0.25%로 전년도보다 0.05%p 상승했지만, 올해 1분기에는 상승폭이 0.1%p로 커지며 0.35%까지 올랐다.
금융업계 전문가는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와 금융당국의 정책금융 요구로 금융사의 건전성 유지가 더욱 중요해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영업력 건재·기업 여신 성장세···개선 여부 주목

CIR도 1.5% 하락한 38.8%를 기록, 비용 관리에도 성공했다.
기업대출도 기업 규모별로 고루 증가했는데, 대기업 대출은 6.9%, 중소기업대출은 6.3%, 소상공인대출은 5% 늘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국민은행의 경우 기업금융 관련 조직을 강화하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며 "스타벅스·빗썸과의 제휴 등 임베디드 금융을 통한 비이자이익 확대도 노리고 있어, 추후 수익성 개선의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voicer@fntimes.com
[관련기사]
- 정문철 KB라이프 대표, 연금 중심 GA채널 매출 1위…종신 외 상품 판매 확대 방점 [금융사 2025 1분기 실적]
- 김재관 KB국민카드 대표, 순익 감소…비용 효율화·다중채무자 관리 강화 [금융사 2025 1분기 실적]
- 구본욱 KB손보 대표, 투자손익 증가로 보험손익 감소 상쇄…장기보험 경쟁력 강화 [금융사 2025 1분기 실적]
- 양종희號 KB금융, 1분기 순이익 61% 성장 '기염'···남은 과제는 '건전성' [금융사 2025 1분기 실적]
- 이홍구·김성현號 KB증권, 1분기 영업익 2246억원…주식거래 감소 영향권, S&T는 개선 [금융사 2025 1분기 실적]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