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손해보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8.2% 증가한 3135억원을 기록했다. KB손해보험은 자동차보험의 손해율 악화 등으로 보험수익은 다소 감소했지만, 투자손익이 크게 늘어 수익성이 개선됐다.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 여파 보험손익 감소
KB손보 투자손익은 증가했지만 올해 1분기는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 여파로 보험손익이 감소했다.올해 1분기 말 기준 KB손보 보험손익은 26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6% 감소했다. 보험별로 보면, ▲장기보험 전년 동기 대비 24.8% 감소한 2576억원 ▲자동차보험 전년 동기 대비 74.7% 감소한 37억원 ▲일반보험 전년 동기 대비 83.8% 감소한 18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투자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441.2% 크게 성장한 1656억원을 기록했다. 투자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49.8% 늘어난 3439억원을, 보험금융비용은 전년 대비 10.4% 감소한 1783억원으로 투자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주요 수익성 지표도 개선된 모습이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ROE(자기자본수익률)은 23.19%로 전년 동기 대비 3.74%p 개선됐다. 같은 기간 ROA(총자산수익률)는 전년 동기 대비 0.06%p 소폭 하락한 3.07%를 기록했다.
후순위채 발행 등 자본관리 고삐·장기보험 경쟁력 강화
자산 건전성 부문은 전년과 비교해 악화됐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K-ICS비율 잠정치는 전년 동기 대비 20.3%p 하락했다.지난해 4분기부터 무·저해지 상품의 해지율 가정변경을 적용하고, 금리 하락 및 금융당국의 할인율 제도 강화 영향으로 인해 가용자본이 감소하면서 건전성이 약화됐다.
이에 KB손해보험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올해 1분기 중 600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작년 KB손보는 건전성 관리를 위해 9000억원 규모 후순위채 발행을 결의한 바 있다.
무저해지 해지율 가정 변경은 CSM에도 영향을 미쳤다. 신계약 CSM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4.1% 감소한 3741억원으로 나타났지만, CSM 상각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억원 줄어든 2132억원, 이자부리 등 기타 조정액이 1089억원 줄어든 영향이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CSM(보험계약마진)은 8조92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소폭 개선되는 데 그쳤다.
건전성 관리를 위해 올해는 작년 대비 영업 면에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작년 GA 채널에 드라이브를 걸며 삼성화재와 1, 2위 순위를 다퉜지만 올해 1분기에는 GA 채널에서는 숨고르기를 하며 매출이 전년보다는 내려갔다.
올해 장기보험 경쟁력 강화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KB손보는 지난 1월 경증부터 중증 유병자까지 가입가능한 ‘KB 3.N.5 슬기로운 간편건강보험 Plus’, 치매·간병보장을 강화한 ‘KB 골든케어 간병보험’을 출시했다.
강은영 한국금융신문 기자 eyk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