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이날 20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만기는 2년물(700억원)과 3년물(1300억원)로 구성됐으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최대 4000억원까지 증액 발행한다.
롯데쇼핑은 매년 공모 회사채 시장을 찾는 단골 이슈어다. 수요예측 단계에서 미매각 사례는 없었다. 결정금리도 등급 민평금리 평균과 낮거나 유사한 수준에서 결정됐다. 하지만 유통시장에서는 같은 등급(AA-)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 수준(약 15bp)에서 거래된다. 이처럼 롯데쇼핑은 수요예측 과정조차 금리 왜곡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업으로 꼽힌다.
그 배경에는 신용등급 트리거 문제도 있지만 신뢰도를 빼놓을 수 없다. 롯데쇼핑은 우량등급(AA급 이상)에 속하지만 사모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의존도 또한 높은 수준이다. 사모채와 CP 등은 거래 정보 공개가 제한되는 탓에 신뢰 고리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다만 이 과정에서 객관적 지표과 시장 판단 괴리가 존재한다. 기존에 재무제표 상 나타나지 않은 자산가치 등을 반영하는 투자자들도 있기 때문이다.
자산재평가, 레버리지 지표 개선…본업 경쟁력 제고 절실
지난해 롯데쇼핑은 9941억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자산재평가로 각종 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을 인식한 결과다. 반면, 부채비율과 순차입금의존도는 129%, 31.3%로 직전 연도(182.8%, 38.1%) 대비 크게 개선됐다.이자비용 부담도 상당해 수익성 회복은 절실하다. 2024년 말 기준 롯데쇼핑의 영업외수익은 7584억원, 영업외비용은 2조2527억원으로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영업외비용 중 자산손상차손을 제외해도 1조원 수준 비용이 발생한다.
영업외비용 중 이자비용만 6213억원에 달한다. 영업외수익 대비 80%가 넘는 것은 물론 영업이익(4731억원)도 상회하는 수준이다. 채권투자자 입장에서는 우량등급을 제외하면 투자메리트는 크지 않다.
자산재평가와 자산구조조정 등은 재무개선에 일조한다. 그러나 본질적인 사업 경쟁력이 담보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롯데쇼핑의 수익성 등을 고려하면 추가적으로 차입 압력을 낮추기는 어렵다. 본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투자 확대도 불가피한 탓이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롯데쇼핑은 과거 오버금리에서 많은 주문이 발생했음에도 최종적으로는 언더금리에서 결정되는 등 금리 왜곡 의구심이 많았다”며 “주관사를 비롯한 다수 기관투자자들에 대해 공모 수요예측 과정에서 공정성에 대한 불신이 확대된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금리는 주체별 주관적 판단이기 때문에 옳고 그름을 구분하기 어렵지만 자산재평가로 투자자 판단이 좁혀질 수 있을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