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일그래핀은 지난 10일 경기 화성시 수원대학교 고운첨단과학기술원에서 바이오 딥테크 기업 ‘하드사이언스’와 그래핀(초경량∙고전도∙고강도 특성을 갖춘 차세대 복합소재) 기반의 치매 진단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술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국일그래핀은 담배 필터용 박엽지, 스테인리스 강판지 등 특수지를 생산하는 국일제지의 100% 자회사로, 그래핀 등 신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2018년 설립됐다. 현재는 그래핀을 활용한 치매 진단기술 특허를 출원하는 등 관련 소재와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회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타우 단백질의 섬유화(조직 등이 딱딱하게 굳는 현상) 상태를 그래핀의 전기적 변화로 분석하고 완성도를 높여 상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연구개발을 이끌 허채정 대표는 현재 성균관대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측정∙분석하는 연구로 국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뇌과학 분야 전문가다.
강태현 대표는 “우리나라가 지난해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초과)에 진입하면서 치매와 함께 이를 초기에 진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관련 산업의 관점에서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계약을 계기로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더 나아가 그래핀 응용 분야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채정 대표도 “지금까지의 치매 진단 기술이 혈액 속 원인 단백질의 농도 분석에 의존했고 이러한 단백질은 충분한 수면 등으로 감소해 진단 시의 몸 컨디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던 반면, 이번 기술은 산업계에서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의 특성을 활용해 수면 등으로 제거되지 않고 뇌 혈관을 막는 섬유화된 단백질의 상태를 측정해 진단하는 새로운 접근”이라며 “이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의료 데이터를 정밀하게 활용하면 혁신적인 진단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