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4.16(수)

전국 연이은 ‘땅꺼짐’ 공포…안형준 교수 "동공현상 시…시멘트 물 넣어주면 예방 끝"

기사입력 : 2025-04-15 15:02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부산 사상구에서 발생한 싱크홀.사진=사상구이미지 확대보기
부산 사상구에서 발생한 싱크홀.사진=사상구
[한국금융신문 주현태 기자] 최근 서울 강동구와 부산 사상구 도시철도 공사 현장 인근에서 또다시 싱크홀이 발생했다. 전국적으로 땅꺼짐 현상이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15일 서울 강동소방서와 서울 동부도로사업소 등에 따르면, 오후 2시50분께 강동역 1번 출구 인근 횡단보도에 구멍이 났다

구멍은 약 직경 20cm로 임시 보수 조치를 완료한 상태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는 발생하지 않다. 다만, 이번 싱크홀은 지난달 24일 발생한 강동 명일동 애형 싱크홀 사고 지점으로부터 2.5km 떨어진 장소라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당시 강동구 명일동에서 대형 싱크홀 사고가 발생해 지나가던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사망하는 일이 있었다.

마포 애오개역 인근에서도 싱크홀 사고가 나 차량 통행이 통제됐다. 지름 약 40cm, 깊이 1.3m 규모로, 인명 피해는 없었다. 싱크홀 바로 아래 지점을 파내자 지름 60cm가량의 하수관이 균열이 간 상태로 드러났다.

서울 시청역 인근에서 땅꺼짐 의심 신고가 접수돼 한때 도로가 통제되고 밤 사이 조사 작업도 진행됐다. 14일 오후 9시50분께 도로를 지나던 오토바이 운전자가 땅꺼짐, 이른바 싱크홀 현상이 의심된다는 신고를 했다. 이에 시는 도로 이용을 통제하고, 지반 침하 가능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는 2cm 깊이가 파인 원인은 단순 아스팔트 변형으로 확인됐다. 도로 통제는 해제됐다.

같은 날 관악구에서도 삼성동 재개발구역 인근 도로에 지반 균열이 발생했다. 균열 크기는 폭 10㎝가량으로 싱크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싱크홀 모두 명확한 원인과 공통점을 보이지 않고 있어, 균열마저 싱크홀의 전조 증상 일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강동구에 거주하는 한 모씨는 “최근 들어 싱크홀 문제로 사람이 다치고 있다. 문제는 이 분들이 일상생활을 하던 상황에서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내 가족에게도 피해가 갈지 불안하다”며 “싱크홀이 과도한 지하개발로 발생한다고 하는데, 지하개발이 많은 서울시 상황에서 지진이라도 일어난다면 아파트도 무너지는 게 아닐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싱크홀 사고는 부산 사상구에서도 이어졌다. 사상구 새벽시장 사상∼하단 도시철도 공사가 수년째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새벽로 일대에서 싱크홀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13일 오전 5시30분쯤 사상구 학장동 횡단보도에서 가로 5m, 세로 3m, 깊이 5m 규모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문제는 이 구간이 2023년부터 현재까지 14번의 싱크홀이 발생할 정도로 빈번하다는 점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수원시무)이 국토교통부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은 총 2085건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서울은 216건으로 가장 많고 광주 182건, 부산 157건, 대전 130건, 인천 66건, 울산 37건 순이다. 지하 공간이 많은 대도시권일수록 사고 발생이 집중되는 모양새다.

안형준 건국대 교수는 “통상 공사 과정에서 지하수를 빼면 동공현상이 일어난다. 지하수가 있으면 땅이 주저앉지 않는데, 물이 빠지니까 도로 같이 계속 하중을 받는 곳에선 싱크홀이 생기는 것”이라며 “계측 데이터를 꾸준히 확인하고, 동공현상이 일어나면 시멘트 물을 통해 메워주면 된다. 기본에 충실하면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 지자체도 형식적이 아닌 정확한 지하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땅꺼짐 현상을 대비해야 한다”며 “안전점검과 더불어 정확한 수도관 가스관 위치를 파악해야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주현태 기자기사 더보기

유통·부동산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