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8일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까지 올라 원화 가치가 하방 압력을 받았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5.4원 오른 1473.2원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즈음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16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3.2원 오른 1471.0원에 개장해서 등락을 보였다. 1466.3원까지 밀렸다가, 이후 1473.9원까지 터치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닫기
트럼프기사 모아보기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공격적' 관세 정책 충격파가 이어지고 있다.
앞서 미국 행정부는 모든 교역국가에 10%의 기본 관세(5일 발효)와 함께, 무역흑자 규모가 큰 개별 국가에 상호관세(9일 발효)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에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34%의 보복성 관세를 발표하는 등 맞불을 놓았다.
미국은 중국이 대미(對美)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대립에 나섰다. 이날 중국 상무부는 역내 달러-위안화 기준환율을 절하 고시하며 미중(美中) 대립이 격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전날 '블랙 먼데이'로 급락했던 국내 증시는 이날 하루 만에 상승 마감했다. 수급을 보면,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6400억원, 코스닥에서 730억원씩 각각 순매도하며 달러 수요가 높았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국 정부는 글로벌 경제 시스템의 불균형, 불공평한 무역환경으로 자국 제조업은 물론 국가적으로 과도한 부담을 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기축통화이기에 생기는 구조적인 달러 강세 때문으로 보며, 환율 등은 상대국을 압박할 수 있는 방법이다"고 설명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