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진 네이버 창업주는 26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개최된 제26기 주주총회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사회가 AI 대전환 시대에 네이버만의 중장기적인 성장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 판단했다”며 “인터넷과 모바일 산업의 주요 패러다임 전환기를 독자적인 전략으로 이끌어 낸 이해진 창업자를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했고 금일 주주총회를 통해 이 창업자의 이사 선임을 승인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해진 의장은 구글과 야후가 주도한 검색 포털 시장에서 순수 한국어 기반 네이버를 앞세워 국내 시장을 평정한 인물이다. 현재 AI 전환 시대도 구글, MS 등 해외 빅테크를 중심으로 시장이 굳어지면서 각국의 AI 주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어 “인터넷 시대에 시작된 네이버가 모바일 환경의 파고까지 성공적으로 넘을 수 있었던 핵심은 혁신 기술을 이용자에게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 바꾸겠다는 열정과 더 큰 시장과 자본력을 가진 기업들과 다른 방식으로 싸워온 네이버만의 투지”라며 “AI 시대를 맞이하는 네이버도 이러한 기본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수연 대표는 지난 임기 동안 AI 기반 서비스 혁신 및 신사업 발굴, 경영 체제 개편을 통해 미래 성장을 위한 토대를 구축한 데 이어,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최초로 연 매출 10조 원을 달성하는 등 견조한 성장을 이끌어왔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최수연 2기는 네이버의 AI 원천 기술과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연결하는 ‘On-Service AI’ 전략을 중심으로 새로운 혁신을 위한 도전을 본격화한다.
최수연 대표는 “AI 기술이 네이버의 핵심 사업인 검색·광고·커머스·콘텐츠 등 주요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모든 서비스에 자연스럽게 AI 에이전트를 도입해 서비스 전반에 걸친 고객 편익과 개인화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주주총회를 통해 네이버는 김이배 덕성여자대학교 회계학 교수를 신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임했다. 노혁준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도 재선임됐다. 이에 ▲제26기(2024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사내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등 총 5개의 안건이 모두 통과됐다.
김재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rlqm9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